스토리/역사속으로

군사영어학교 졸업생명단(군번순)

marineset 2023. 5. 27. 03:37

1946년 1월 15일 졸업

이형근, 채병덕, 유재흥, 장석륜, 정일권, 양국진, 문이정, 김홍준, 이영순, 최주종, 최경록,
이춘경, 장창국, 이병위, 이상진, 김영환, 강문봉, 민기식, 임선허, 박병권, 박기병

  1. 이형근(1920-2002) : 20년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나, 1942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해방 후인 1945년 12월 5일 군사영어학교 1기생으로 입교하여 1946년 1월 15일 1기로 임관하고, 국방경비대 제2연대장을 맡았다. 이어서 1946년 5월 1일에 초대 조선경비사관학교 교장을 맡았고, 1946년 9월에는 국방경비대 총사령관 겸 육사 교장, 1948년 2월에는 통위부 참모총장, 1949년 6월에는 제8사단장을 맡았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6월에는 제2사단장, 1950년 10월에는 제3군단장, 1951년 8월에는 교육총장을 맡았으며, 1951년 9월에 휴전회담 대표이었고 1952년 1월에는 제1군단장을 맡았다. 종전 후에는 1954년 2월 합참의장, 1956년 6월에는 참모총장이 되었다. 1959년 8월에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그는 대한민국 국군의 군번 "1번"인데 당시 군번은 조선경비대 입소 선착순 1번을 의미하였다.

 2. 채병덕(1916-1950) : 평양(平壤) 출생.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군에 복무, 육군 소좌(陸軍少佐)로 인천 육군조병창 공장장(陸軍造兵廠工場長)에 재임 중 8·15광복을 맞아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 창설에 참여하였다. 1948년 국군의 탄생과 함께 준장으로 제2대 국방부 참모총장이 되고 이듬해 소장으로 제2대 육군참모총장(陸軍參謀總長)에 취임하였다. 6·25전쟁이 일어나자 육해공군총사령관(陸海空軍總司令官)에 승진하여 전투지휘 중 하동(河東)싸움에서 전사하고 중장(中將)으로 특진하였다.

 3 유재흥(1921-    ) : 일본 나고야에서 태어나 다섯살 때 조선으로 돌아왔다.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제55기로 졸업하였고, 태평양 전쟁 종전 당시에는 일본군 대위로 근무하고 있었다.

미군정 시기에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대한민국 국군 장교가 되었다. 제4여단장, 육군사관학교 부교장 등을 지냈고, 1949년 제주도지구 전투사령관에 임명되어 제주 4·3 사건에 관여했다.

한국 전쟁이 발발했을 때는 제7사단장으로서 참전하였으나, 이후 제2군단장이 되었다. 덕천 전투에서 중국군 38군과 42군에 포위되어 제2군단을 해체 하였으며, 현리 전투에서도 제3군단을 해체[2]하는 등 한국 전쟁에서 지휘한 전투마다 패전한 경우가 많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제2군단장으로 낙동강 방어전에서 일어난 영천 탈환전과 이후 한국 전쟁 후반부의 수도고지 전투의 공로는 객관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현리 전투 에 대해서도 미 7사단의 주요 요충지인 오마치 고개의 점령이 더 큰 면이 있다는 견해가 있어 야전사령관으로서의 유재흥의 능력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하야한 뒤 정군 대상으로 지목되어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그러나 5·16 군사 정변이 성공한 뒤 제3공화국에서 등용되어 타이, 스웨덴, 이탈리아 대사 및 대통령 특별보좌관, 국방부장관 등을 지냈다. 퇴임 후에는 1974년부터 대한석유공사 사장으로 6년간 재직했다.

한국 전쟁 때의 전공으로 1951년에 받은 태극무공훈장을 비롯하여, 수교훈장 등 여러 차례 훈장을 수여받았다. 1990년대에 전직 장성 모임인 성우회의 부회장과 회장을 지냈으며, 전시작통권 회수 등의 국방 관련 현안에 대해 보수주의 세력과 정치적인 행보를 같이 했다.[3]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아버지 유승렬과 함께 선정되었다.


[편집] 학력
1941년 : 일본육군사관학교 졸업
1946년 : 군사영어학교 졸업
1954년 : 미국 육군참모학교 졸업

[편집] 약력
1945년 : 일본군 육군 대위
1953년 : 육군참모차장
1957년 : 합동참모본부 의장
1959년 : 군사령관
1960년 : 예편 (중장)
1960년 : 주 타이 대사
1963년 : 주 스웨덴 대사
1967년 : 주 이탈리아 대사
1970년 : 대통령 안보담당·국방담당 특별보좌관
1971년 : 국방부장관
1974년 : 대한석유공사 사장
1978년 : 석유화학공업협회 회장
1983년 : 한스칸디나비아재단 이사장
1991년 : 성우회 회장 


 5. 정일권(1917-1994) : 함경북도 경원군에서 태어나 만주의 펑톈군관학교를 거쳐[1] , 1940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으로 복무했다.

일제 패망 후에는 1946년 1월 15일 군사영어학교 1기생 중 1차로 임관하여 국방경비대 제4연대장 겸 경비대 총참모장을 역임하였다.[2] 한국 전쟁 발발 전 교육 차 미국에 있다가 급거 귀국하여 해임된 채병덕 참모총장을 대신하여 육군 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육해공군 총사령관도 역임하였다.

1952년 미국 참모대학을 졸업하였다. 1960년 하바드대학 국제문제연구소를 졸업하였다. 또한 영국 옥스포드 대학 정치학를 수료하였다. 육군대장으로 전역하고, 주 터키 대사(1957년 1월), 주프랑스 대사, 주 미국 대사, 1963년 외무부장관, 자유총연맹총재(1989년-1991년)를 역임하였다. 또한 민주공화당 소속의원으로 제8대, 제9대, 제10대 국회의원과 국회의장, 민주공화당 의장도 역임하였다.

 


1946년 1월 22일 졸업

심언봉, 백인엽, 안광수(정화), 윤병호

1946년 1월 28일 졸업

원기섭, 원태섭, 조암, 이정석, 김종갑, 김종오, 박동균, 하재팔


1946년 2월 3일 졸업

이치업, 김계원, 유해준, 이성가(정일), 함병선

1946년 2월 7일 졸업

유흥수, 정래혁

1946년 2월 9일 졸업

원용덕, 김동영, 김병길, 최홍희


1946년 2월 11일 졸업

김형일, 황헌친

1946년 2월 12일 졸업

김익렬


1946년 2월 18일 졸업

정만기, 안동순, 함준호


1946년 2월 21일 졸업

최영희, 문용채


1946년 2월 26일 졸업

최남근, 백선엽, 김백일, 이한림, 정진완


1946년 2월 28일 졸업

신상철, 오덕준, 권석필,


1946년 3월 4일 졸업

한인준, 김종평, 백선진, 소병기, 최창무


1946년 3월 15일 졸업

위대선


1946년 2월 23일 졸업

조병걸, 김현수, 백남권, 김종석, 김완룡, 오일균


1946년 3월 23일 졸업

최상무, 김병휘, 최석, 김상복, 김용배, 김기홍, 이후락, 장도영, 이상철, 이희권, 김삼길, 장호진, 이창일


1946년 4월 25일 졸업

민병권, 장만석, 백인기, 이현재, 라종하, 박진경, 한춘, 김일환


1946년 5월 1일 졸업

오규범, 최창언, 송요찬, 라학선, 이백우, 장은산, 김웅수, 강영훈, 이찬형, 이순영, 김종문, 박현수, 박경원, 신학진, 이명재, 윤수현


1946년 6월 12일 졸업

이응준


                                                           ** 이상 110명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