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역사속으로
[역사 속 오늘]수많은 제주도민들 희생된 '4·3사건'
marineset
2023. 5. 28. 01:49
69년 전 오늘…좌·우익 충돌에 무고한 민간인 희생되다
[역사 속 오늘]수많은 제주도민들 희생된 '4·3사건'
머니투데이 이슈팀 김종효 기자 |입력 : 2016.04.03 05:45
광복 직후 제주도에는 해외에 나가있던 동포들이 일제히 몰려왔다. 생필품은 부족했고 전염병의 발병으로 수백명의 인명피해가 있었다. 민생이 피폐한 상황에서 일부 관리와 경찰은 사리사욕을 채우는 부정을 일삼았다.
한 사건이 제주도민의 경찰에 대한 반감에 불을 붙였다. 1947년 3월1일, 3·1절을 맞아 제주도 내 좌파진영은 곳곳에서 기념집회를 주최했다. 광장에서 구경하던 아이가 경찰이 탄 말에 차여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군중들은 돌멩이를 던지며 항의했고 경찰은 이를 습격으로 오인해 발포했다.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남조선노동당(이하 남로당) 제주위원회는 이 사건을 발판으로 삼아 본격적 반경활동에 착수했다. 미군정은 남로당이 제주도민의 경찰에 대한 반감을 이용해 선동에 나서고 있다고 분석해 좌익세력 척결에 주력하는 정책을 전개했다.
69년 전 오늘(1947년 4월3일) 남한만의 단독 선거 결정에 반발한 제주도 좌익세력은 350명의 무장대를 결성해 본격적으로 우익단체 요인의 집을 습격하기 시작했다. 미군정과 경찰도 보고만 있진 않았다. 응원경찰과 경비대, 우익청년단을 토벌대로 구성해 무장대를 제압했다.
4·3사건이 완전히 종결되기까지 소요된 기간은 7년7개월. 이 기간동안 피해는 고스란히 민간인들이 받았다. 진압작전 도중 마을의 95% 이상이 불에 타 없어졌다.
서북청년단 등 우익단체원들은 주민들을 모아놓고 청년이 사라진 집안의 사람들을 '도피자 가족'이라 하여 부모와 형제자매를 대신 죽이는 이른바 '대살(代殺)'을 자행했다.
토벌대는 재판절차도 없이 주민들을 집단으로 사살하기도 했다. 좌익 무장대도 세화·성읍·남원의 마을을 습격해 민가를 불태우고 주민들을 죽였다.
희생자들은 50여년간 잊혀지거나 불온한 좌익세력이라고 기억됐다. 사건은 좌익 세력의 폭동이라고 기록됐다. 오랜 세월이 지나 희생자와 사건은 재조명 받았다. 2000년 1월12일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을위한특별법'이 제정된 것.
결국 이 사건에 대한 공식 기록은 "1948년 4월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수정됐다.
[역사 속 오늘]수많은 제주도민들 희생된 '4·3사건'
머니투데이 이슈팀 김종효 기자 |입력 : 2016.04.03 05:45
광복 직후 제주도에는 해외에 나가있던 동포들이 일제히 몰려왔다. 생필품은 부족했고 전염병의 발병으로 수백명의 인명피해가 있었다. 민생이 피폐한 상황에서 일부 관리와 경찰은 사리사욕을 채우는 부정을 일삼았다.
한 사건이 제주도민의 경찰에 대한 반감에 불을 붙였다. 1947년 3월1일, 3·1절을 맞아 제주도 내 좌파진영은 곳곳에서 기념집회를 주최했다. 광장에서 구경하던 아이가 경찰이 탄 말에 차여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군중들은 돌멩이를 던지며 항의했고 경찰은 이를 습격으로 오인해 발포했다.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남조선노동당(이하 남로당) 제주위원회는 이 사건을 발판으로 삼아 본격적 반경활동에 착수했다. 미군정은 남로당이 제주도민의 경찰에 대한 반감을 이용해 선동에 나서고 있다고 분석해 좌익세력 척결에 주력하는 정책을 전개했다.
69년 전 오늘(1947년 4월3일) 남한만의 단독 선거 결정에 반발한 제주도 좌익세력은 350명의 무장대를 결성해 본격적으로 우익단체 요인의 집을 습격하기 시작했다. 미군정과 경찰도 보고만 있진 않았다. 응원경찰과 경비대, 우익청년단을 토벌대로 구성해 무장대를 제압했다.
4·3사건이 완전히 종결되기까지 소요된 기간은 7년7개월. 이 기간동안 피해는 고스란히 민간인들이 받았다. 진압작전 도중 마을의 95% 이상이 불에 타 없어졌다.
서북청년단 등 우익단체원들은 주민들을 모아놓고 청년이 사라진 집안의 사람들을 '도피자 가족'이라 하여 부모와 형제자매를 대신 죽이는 이른바 '대살(代殺)'을 자행했다.
토벌대는 재판절차도 없이 주민들을 집단으로 사살하기도 했다. 좌익 무장대도 세화·성읍·남원의 마을을 습격해 민가를 불태우고 주민들을 죽였다.
희생자들은 50여년간 잊혀지거나 불온한 좌익세력이라고 기억됐다. 사건은 좌익 세력의 폭동이라고 기록됐다. 오랜 세월이 지나 희생자와 사건은 재조명 받았다. 2000년 1월12일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을위한특별법'이 제정된 것.
결국 이 사건에 대한 공식 기록은 "1948년 4월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수정됐다.

jeju.pdf 제주지역 예비검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