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korailhs

國立 鐵道高等學校

marineset 2023. 6. 9. 06:54
 
국립철도학교 100년 약사 PDF



◈ 國立 鐵道高等學校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우리들의 母校는
1905년 5월 28일 鐵道史員養成所로 발족하여
1986년 2월 28일 閉校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과 校名改稱속에서 3만여 同門을 배출하여 조국의 동맥을 지켜오고 있다.


鐵道士官學校라 불릴만큼 엄격한 先後輩간의 질서와 그 傳統아래
1951년 9월 1일 국립 교통고등학교로 개칭,
1964년에 교통고등학교 시대를 마감한다.


국립 철도고등학교 설치령 공포(대통령령 2937호)로
1967년 3월 30일 역사적 開校를 하여
1970년 1회 졸업생 배출을 시작하였으나
1986년 17회 졸업생을 마지막으로
국립 철도고등학교는 대통령령 제 11375호로 폐교되게 된다.


1977년 철도전문학교 신설로 철도전문학교 부속 철도고등학교로 개칭되고
다시 1979년 철도전문대학 부속 철도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機械科는 업무, 운전, 전기과와 같이 꾸준히 1회부터 17회까지 매년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인원은 전체 졸업생 6293명중 1132명이 기계과 출신이다.




철도고등학교 교장으로는
초대 裵鳳守(1967.8-1978.8),
2대 張大運(1978.8-1982.12),
3대 張永鶴(1982.12-1985.2),
4대 申興均(1985.3-1986.2) 선생님이 역임하였다.
 
 
 
 

國立 鐵道高等學校 교가

2.8. 연표[편집]

한국철도대학의 연혁
5월 인천에서 철도이원양성소(3개월제)로 개교.
-운수과, 기차과 설치
9월 제1기 졸업식.
4월 전신수기생양성소(5개월제)로 개편.
11월 용산으로 이전.
11월 철도종사원교습소(8개월제)로 개편.
4월 경성철도학교(5년제)로 개편[38].
4월 철도종사원양성소로 교명 변경.
4월 중앙철도종사원양성소로 교명 변경.
12월 중앙교통종사원양성소로 교명 변경. (해방 전까지 1만 2,195명 졸업생 배출)
8월 광복으로 8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휴교.
5월 운수학교(6년제)[39]로 개편.
6월 교통학교로 교명 변경.
6월 한국 전쟁 발발로 6월 28일부터 1951년 5월 31일까지 휴교.
9월 부산에서 교통고등학교(3년제)로 개편.[40]
6월 항공과(2년제) 신설.
2월 항공과, 국립항공학교로 분리.
8월 부산 피난교 폐지, 교통고등학교 환도.
3월 서울교통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5월 용산공업고등학교로 개편.
2월 서울교통고등학교 폐교.
3월 철도고등학교(3년제) 개교.[42]
전수부(1년제) 설치.[43]
철도고등학교 전수부가 전문부(2년제)로 개편.[44]
3월 철도고등학교 전문부가 철도전문학교(2년제)로 개편.[45]
철도고등학교는 철도전문학교 부속철도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월 철도전문대학(2년제)으로 개편.[46]
철도전문학교 부속철도고등학교는 철도전문대학 부속철도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8월 의왕의 현재 위치로 캠퍼스 이전.
2월 철도전문대학 부속철도고등학교 폐교.[47]
철도경영정보과 신설.
첫 사비생 입학(65명).
한국철도대학으로 교명 변경.
여성입학 할당제 폐지.
철도차량전기과 신설, 철도운전기전과, 철도차량기계과, 철도전기제어과, 철도시설토목과 3년제로 전환.
2005학년도 신입생부터 학비지원 및 철도청 특채 등 국비생 제도 폐지, 철도청 폐지로 인해 건설교통부로 이관.[48]
3월 한국철도대학(7개 학과, 정원 224명)이 충주대학교와 통합, 한국교통대학교 개교.[49]
한국교통대학교 철도대학 신설.
-6개 학과, 정원 221명
-철도경영·물류학과, 철도운전시스템공학과, 철도차량시스템공학과, 철도시설공학과, 철도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정보공학과 설치
2월 한국철도대학 폐교 및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12학번 최초 졸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