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무’와 ‘굿’
승무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의 하나. 1969년 중요무형문화재(현, 중요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본래는 지역에 따라 각기 양식과 구성을 달리하면서 그 고장의 광대(廣大)들, 특히 판소리꾼에 의해 추어져왔으나, 구체적인 것은 알려진 것이 없다.
1900년대 초 협률사(協律社)의 조직에서 비롯하여 광무대(光武臺) · 단성사(團成社) · 원각사(圓覺社)로 이어지는 동안, 당시 ‘국고(國鼓)’라고까지 칭송되었던 한성준(韓成俊)이 그 때까지 무작위적 즉흥형식으로 추어지던 춤의 사위와 가락을 1934년조선음악무용연구소(朝鮮音樂舞踊硏究所)의 창립과, 1936년 제1회 무용발표회를 계기로 집대성하고 체계화시켰다.
따라서 이를 많은 문도(門徒)들에게 수습시키는 한편, 손녀인 한영숙(韓英淑)에게 계승하였다. 그 가운데 1969년에 이르러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던 <승무>만이, 비교적 소상하게 그 계보를 밝혀주고 있을 뿐이다. 이 밖에 박금슬(朴琴瑟)의 <경기승무 京畿僧舞> 계열과, 1987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매방의 <호남승무 湖南僧舞> 등이 널리 추어지고 있다.
<승무>의 기원을 말해주는 것으로는, ① 천부의 미모와 능수능란한 풍류솜씨를 빌려, 지족선사(知足禪師)로 하여금 파계의 지경으로까지 몰고 가게 한 것이 시작이라는 황진이초연설(黃眞伊初演說)이라든가, ② 상좌승의 기거범절(起居凡節)이나 독경설법(讀經說法)의 모습을 사미승들이 희화시킨 것에서 나왔다는 동자기무설(童子起舞說), ③ 육관대사(六觀大師)의 제자 성진(性眞)이 탁발수도에 나섰다가 깊은 계곡에서 8선녀(八仙女)를 만나, 한때 그 미색에 현혹되어 번민하였으나 광대무변한 불도의 참을 깨달아 해탈의 법열을 체험하게 되었던 과정을 무용화한 것이라는 구운몽인용설(九雲夢引用說), ④ <산대가면극> 가운데 노장춤에서 따왔다는 노장무유래설(老杖舞由來說), ⑤ 파계로 환속한 자가 가책을 이기지 못하는 오회(悟悔)의 심정을 춤에 담아본 것이라는 파계승번뇌표현설(破戒僧煩惱表現說) 등이 있다.
한편으로는 ⑥ 악신(樂神) · 건달바(乾達姿)가 <영산회상 靈山會相>의 장엄하고 엄숙한 광경을 묘사한 것이라든가, ⑦ 위(魏)의 조자건(曺子建)이 천태산(天台山)에 올랐다가 범천(梵天)에서 들려오는 오묘한 소리에 고기떼가 춤을 추는 모습을 보고 춤으로 옮긴 것이라는 등의 불교문화사적 기원설까지 나오고 있다.
이 밖에 탁발승이 포교과정에서 군중을 모으기 위해 법무(法舞)를 속화시켜 추었던 것이 항간에 번지게 되었는데, 억불숭유 이후 민간에 의해서 재연된 것이 이 춤의 발상이라고 보는 불교무용유래설이 있어 그런대로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이 또한 추측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붉은 가사에 장삼을 걸치고, 백옥 같은 고깔과 버선코가 유난히 돋보이는 차림으로, 염불 · 도드리 · 타령 · 굿거리 · 자진모리 등 장단의 변화에 따라 일곱 마당으로 구성되는 춤을 추는데, 신음하듯 번민하듯 움틀거리는 초장의 춤사위에서부터, 열반의 경지에서 범속을 벗어날 수 있었다는 하염없는 법열(法悅)이 불법의 진리와 더불어 표상된다는 말미의 춤사위에 이르기까지, 뿌리고 제치고 엎는 장삼의 사위가 서로 혼화(渾和)를 이루어가며, 소쇄(瀟灑:기운이 맑고 깨끗함)함 속에 신비로움이, 역감 속에 정교로움이 감도는 조화의 극치야말로, 가히 정중동(靜中動)의 산 증표라고 하겠다.

무당춤(굿)
무당춤은 무당이 굿을 할 때 추는 춤이다. 신이 내린 강신무와 학습에 의해 의식을 행하는 세습무의 춤은 차이가 있다. 한강 이북의 강신무가 추는 무당춤은 동작이 활달하고 주술성이 강하다. 여러 가지 신옷을 입고 주로 타악기 중심의 무악기로 반주한다. 한강 이남의 세습무가 추는 무당춤은 동작이 부드럽고 축원적이다. 의식에서 예능을 강조하고 무당들은 신옷이 아니라 연희복을 입는다. 무당춤은 제의적 성격뿐만 아니라 굿판의 사람들을 위한 오락적·예술적 가무도 중시된다. 무당춤은 한국 전통춤 전반의 뿌리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크게 보았을 때 신이 내리는 강신무(降神巫)주1는 굿의식에서 신의 역할을 직접 하며, 학습에 의해 의식을 행하는 세습무(世襲巫)주2는 사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한강 이북의 강신무가 추는 무당춤은 동작이 활달하고 주술성이 강하며, 여러 가지 신옷을 입고, 주로 타악기 중심의 무악기로 반주한다. 한강 이남의 세습무가 추는 무당춤은 동작이 부드럽고 축원적이며, 의식에서 예능을 강조하고, 무당들은 신옷이 아니라 의식진행을 위한 연희복을 입는다. 반주악기로 타악기와 선율악기가 함께 동원된다.
굿 의식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무당춤은 청신무(請神舞), 오신무(娛神舞)주4, 송신무(送神舞)주5, 세령무(洗靈舞), 축귀무(逐鬼舞)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청신무의 경우 신대를 들고 춤추거나 강신장인 터를 잡는 춤, 신을 제상까지 청하여 정좌시키는 춤, 혼도(魂道)를 깨끗이 치워 맞이하는 춤 등이 있다. 오신무로는 영복(靈服)이나 무복(巫服)을 입거나 손에 들고 추는 춤이 있으며, 송신무로는 ‘길닦음’이라 하여 극락의 길로 망자의 넋을 보내는 춤이 대표적이다.
세령무로는 넋을 깨끗이 씻어주는 굿에서 추는 넋춤이나 지전(紙錢)춤주3, 고풀이춤이 있고, 축귀무인 경우 크고 작은 신칼을 휘두르면서 잡귀를 몰아내는 도무(跳舞)나 공수를 내릴 때 하는 신기(神旗)춤 등이 있다. 또한 신사(神事)의 제의적 춤 못지않게 굿판의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한 오락적이고 예술적인 극이나 가무도 중요시되고 있다. 무당춤의 춤사위는 자체가 의미를 갖는다기 보다는, 각 굿거리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무구(巫具)의 쓰임에 따라 의미를 갖게 된다.
강신무가 추는 춤은 발작적인 광란한 춤이 나오기도 하고, 신격자로서 권위나 위엄을 보이기도 하며, 장난기가 있는 춤으로 변하기도 하는 등 유동적이고 변화가 심하다. 그러나 세습무의 춤은 축원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일반적인 가무를 하면서, 종교적 속박을 벗어나 인간적인 춤, 예술적 연희에 치중되는 춤도 있다.
무당춤은 크게 6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부산에서 강릉으로 이어지는 동해안 지역의 무당춤, 전라도와 경상남도의 서남 지역의 무당춤, 경기 남부와 충청도 지역의 무당춤, 서울 지역의 무당춤, 경기 북부를 포함함 황해도, 평안도함경도 지역의 무당춤, 제주도 무당춤이 있다.
강원도 강릉굿은 무구를 가지고 추는 것보다 쾌자자락으로 추는 신놀림춤이 많다. 삼척굿도 강릉굿과 유사하나, 칼춤과 장삼자락으로 추는 도무는 함경도나 평안도춤과 비슷한 것이 나타난다. 부산굿은 굿의 내용이 풍부하고 춤의 종류도 많다. ‘겨드랑사위’, ‘비빔무관’, ‘양사위무관’, ‘갈매무관’, ‘돌돌이무관’, ‘송신무관’ 등이 전형화되었으며 오신무와 송신무가 많은 것도 특징이다.
또한 남녀대무나 군무, 구경꾼들의 극락춤이 있으며 연극적 내용의 몸짓춤과 여흥으로 추는 예술적인 춤이 돋보인다. 경상북도 영덕굿은 부산굿과 유사한데, 부채 들고 신을 놀리는 춤이 마치 신을 유혹하듯이 요염하고 부드러운 느낌이다.
경상남도 통영굿은 굿의 내용은 경상도 굿과 비슷하나 예능적 형식은 전라도 굿과 비슷하다. 육자배기주6 조의 무악이 그렇고 춤을 엇박으로 추는 것과 맺고 푸는 춤이 주종을 이룬다. 특기할 것은 무녀가 무관(巫冠)을 쓰고 춤을 춘다는 점과 남무가 중광대, 할미광대주7 등과 같은 가면무를 추며, 대금을 가지고 몸짓춤을 춘다.
전라남도 진도굿은 망자를 달래고 씻겨주는 지전춤이 주축이다. 춤은 씻김굿주8의 의식절차인 영돈말이(고풀이), 넋올리기, 길닦음에서 혼을 달래주는 진혼무(鎭魂舞)와 몸을 씻겨서 한을 풀어주는 세령무가 있다. 진도지방의 무당춤은 무악의 음악적 구조가 다양하고 예술성이 높다.
경기도굿은 남무가 꽹과리를 들고 추는 춤이 있고, 활과 정애비주9와 같은 허수아비춤과 목검을 가지고 마을 돌아다니면서 축귀하는 돌돌이춤이 특색이다. 또한 부정놀이라던가 터벌림주10의 사방치기주11와 같은 전형화된 춤사위기 돋보인다. ‘올림채춤’, ‘진쇠춤’, ‘터벌림춤’, ‘도살풀이춤’ 등이 있다.
서울굿은 무복이 아름답고 춤도 우아하며 차분하고 접신무에서 ‘도드림’과 도무, 송신무에서 ‘도령돌기’ 등의 전형화된 춤사위가 엿보인다. ‘대감춤’, ‘제석춤’, ‘거상춤’ 등이 있다.
황해도굿의 춤은 느리게 추다가 절정에 이르러서는 거칠고 전투적인 춤으로 변하며, 크고 작은 칼을 가지고 추는 춤이 많고, 연극적인 요소도 특징이다. ‘부채와 방울춤’, ‘영복춤’, ‘바라춤’, ‘혼배춤’, ‘쾌자옷자락춤’, ‘장삼춤’ 등이 있다.
평안도굿의 춤은 신옷을 갈아입고 접신하는 춤도 있고, 신의 위엄을 보이는 의젓함이 강하게 풍긴다. 함경도굿의 춤은 전형화된 춤은 없고 신사를 진행하면서 성주다리, 망명다리와 같은 흰 천을 가지고 신을 놀리거나 산영대나 장영대와 같은 점술적인 신채춤이 있다.
제주도의 무당춤은 원칙적으로 세습무이기 때문에 기원무이다. 그러나 주술성이 강해 강신무가 추는 신춤과 비슷하다. 악기의 성능이나 연주법이 육지의 것과 다르고 춤 또한 다르다. ‘도랑춤’이라 하여 빙빙 도는 춤사위나 무구를 어깨에 메고 뿌리는 것 그리고 ‘신맞이’주12와 같은 동작이 전형화되어 있다.
무당춤은 굿 자체가 풍성한 내용과 형식을 포함한 경우에 발달하며, 또한 무당의 예술적 역량에 따라 춤이 풍성해진다. 현재 무당춤은 국가유산 지정을 통해 대개 전승되고 있다. 무당춤은 한국 전통춤 전반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
신이 내려서 된 무당. 무당이 되기 전에 신병(神病)을 체험하여 영력(靈力)을 얻어 인간의 길흉화복을 조절하는 능력을 지닌다.
주2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된 무당. 시어머니에게서 며느리로 물리어 간다.
주3지전을 가지고 추는 무당춤.
주4무당춤의 하나로,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추는 춤. 신을 즐겁게 하여 인간이 원하는 바를 이루거나 신과 인간의 유대를 강화하고자 한다.
주5굿이 끝난 뒤에 무당이 불러들인 신을 보내며 추는 춤. 망자의 넋을 극락으로 보내는 의미를 담기도 한다.
주6남도 지방에서 부르는 잡가(雜歌)의 하나. 가락의 굴곡이 많고 활발하며 진양조장단이다
주7오광대놀이나 강령 탈춤 따위에서 할미 역을 맡는 광대. ]


닮은 듯 다른 ‘승무’와 ‘굿’의 실험적 만남
- 문화
- 입력 2025.06.24 13:32
국립무형유산원 기획공연 ‘예능풍류방’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이 7월2일과 5일 얼쑤마루 소공연장에서 무형유산 예능분야 전승자들의 창작 역량을 강화하고 예술적 협업을 통해 공연 콘텐츠를 발굴하는 ‘예능풍류방’의 올해 첫번째 기획공연을 선보인다.
‘예능풍류방’ 기획공연은 무형유산 전승자들이 기획부터 연출까지 주도하는 실험적 무대로, 다양한 종목 간 융합을 통해 무형유산이 가지고 있는 동시대적 가치를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전승자 개인의 예술 세계를 확장하고, 시대와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공연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며, 매년 상·하반기에 걸쳐 총 2기(기수당 4명)가 운영된다.
‘새로운 여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상반기(1기) 공연은 네 종목(승무, 경기도도당굿, 판소리 고법, 가야금산조 및 병창)의 이수자들이 참여하여 창의적인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7월2일 오후7시30분에는 최만 이수자(판소리고법)와 정유경 이수자(가야금산조 및 병창)가 함께 만든 ‘가야人鼓고’가 무대에 오른다. ‘가얏’(가야금의 옛말)과 ‘고’(북)의 만남을 통해 전통과 현대의 어우러짐, 인연과 화합의 의미를 선보이고자 하며, 양철장구·죽장구 등 전통타악기의 복원, 새로운 장단의 창작을 비롯해 구전민요에 선율을 입히고 산조에 구음병창을 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연출은 손혜선 씨가 맡았다.
7월5일 오후4시에는 김영은 이수자(경기도도당굿)와 권효진 이수자(승무)가 함께 한 ‘기억된 신명 x 생명의 DNA’가 무대에 오른다. 굿과 승무라는 전통의례와 춤이 만나, 몸이 기억하는 생명의 흐름과 신명의 감각을 예술로 풀어낸 작품이다. 두 전승자는 굿의 정화와 해원(解冤, 맺힌 한을 풀어줌)의 구조를 바탕으로, 소리와 몸짓을 통해 관객들을 치유의 무대로 연결한다. 전통 의례의 엄숙함과 춤의 역동성, 그리고 타악의 울림이 어우러지며, 의례와 무대의 경계를 넘나드는 감각적 공연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연출은 홍원기 씨가 맡는다.
공연은 전석 무료이며, 선착순 사전예약제로 운영된다. 예약은 6월 25일부터 국립무형유산원 홈페이지(www.nihc.go.kr)나 전화(063-280-1500, 1501)를 통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