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쿡(Cook)'과 '셰프(Chef)'
숙수* 대령숙수
숙수 (熟手)
현재의 조리사와 같은 직업이다. 일상적인 음식은 가정에서 부인들이 직접 조리하나, 잔치 때 많은 음식을 만들고 고배를 할 때 또는 잔칫상을 꾸밀 때는 외부의 남자로서 음식을 만드는 사람을 청하여 일을 시켰다. 이와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을 숙수라 하는데, 특히 궁중에 전속되어 있는 숙수는 대령숙수라 하였다.
대령숙수는 외소주방 또는 잔치 때 가가(假家)로 짓는 숙설소에서 음식을 만들었다. 이들은 궁중의 주방상궁이 궁안에서 살며 궁밖에서 13세 정도의 소녀를 데려다 제자로 삼고 15년간 훈련시켜 계승을 시키는 것과는 달리, 궁밖에서 장가들고 살림을 하면서 궁궐로 출퇴근을 하였으며, 또 10여세의 아들을 조수로 데리고 다니며 가르쳐서 숙수의 자리를 물려주었다.
천민계급이지만 전문직으로 궁중에서는 중요한 기술직이었다. 숙수의 복장은 남색 무명으로 지은 두루마기에 두건을 썼다.
'쿡(Cook)'과 '셰프(Chef)'의 차이점은 주로 직급, 책임, 역할 범위에서 나타납니다.
쉽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쿡 (Cook) | 셰프 (Chef) |
직급 | 일반 조리사, 라인 조리사 등 (주방의 실무진) | 주방장, 총주방장 등 (주방의 관리자/리더) |
책임/역할 | 주로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음식을 직접 조리하고 배식하는 실무 역할. | 메뉴 개발, 레시피 결정, 식자재 주문 및 재고 관리, 주방 인력 관리/감독 등 관리 및 경영 역할. |
어원 | '요리하다'라는 동사에서 유래된 일반적인 '요리하는 사람'. | 프랑스어로 '우두머리(Boss)' 또는 '총책임자(Chief)'를 뜻함. |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 셰프 (Chef):
- 주방의 총 책임자 또는 관리자 직함을 가진 사람을 의미합니다. (예: 엑제큐티브 셰프, 수 셰프, 파트 셰프)
- 실제 요리 실무보다는 주방 운영 전반에 대한 관리, 메뉴 개발, 비용 관리, 직원 교육 및 감독 등 리더십과 경영 능력이 중요하게 요구됩니다.
-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계급이 부여된 직함으로 간주됩니다.
- 쿡 (Cook):
- 음식을 직접 준비하고 조리하는 실무진을 의미합니다.
- 주로 셰프가 만든 레시피나 정해진 지침에 따라 요리를 실행하며, '라인 쿡(Line Cook)'처럼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요리에 대한 경험과 기술은 풍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셰프만큼의 관리직 책임은 없습니다.
요약: 모든 셰프는 과거에 쿡이었거나 요리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모든 쿡이 셰프는 아닙니다. 셰프는 주방의 리더와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며, 쿡은 셰프의 지휘 아래 요리 실무를 담당하는 사람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섬세한 테크닉으로미각을 사로잡다숙수 & 셰프 - 리스펙 제대군인
리스펙 제대군인 웹진 - 국가보훈처에서 발행하는 웹 매거진입니다. 제대군인이 원활하게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제대군인 지원제도, 취․창업 정보 및 성공사례 등 제대군인을 위한 맞춤형
vnet-magazin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