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korailhs

구 용산 철도병원

marineset 2023. 6. 1. 07:16

1967년 , 국립철도고등학교에 합격하고 최종 신체검사를 철도병원에서 받았다. 그 당시 철도병원은 용산에서 가장 큰 종합병원이었던걸로 기억한다.

붉은 벽돌로 지어진 외관에 담쟁이가 둘러쌓여 참으로 고풍스러웠다.

군대 다녀 오자 마자 병이 생겼는데...연평도 해병부대 지하벙커 생활을 하면서 열약한 환경에서 개인 위생관리에 소홀했기에 전염된 것으로 판단 되었다..

배뇨곤란과 혈뇨를 보여 한강성심병원 비뇨기과 양거영 교수께 신우신염과 방광염으로 진료를 받았지만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였고....서울동차사무소에 재직중 철도종사원에게는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진료 받을 수 있는 철도병원에 3일간 입원하여 상급병원에서 밝혀내지 못한 최종진단을 받았으니, 바로 '방광결핵'이란다.

1년간의 투병생활을 마치고 완치되었는데 철도병원에 가지 않았으면 더 많이 고생했을지 모른다...斷想 by badoc



**********************



용산철도병원   

구 용산철도병원은 1907년 조선통감부 철도국이 '용산동인병원'으로 처음 건립했다가 1918년 '용산철도병원'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1926년부터 철도국에서 직접 운영하였다. 1984년부터는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으로 임대되어 연구동과 연구실로 활용되다가 2007년 용산역세권 부지 개발 사업으로 인하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은 철수하였다.
--------------------------------------------------------------------------------------------------------------------


버려진 등록문화재 ‘용산철도병원’

허남설 기자 nsheo@kyunghyang.com
입력 : 2013.11.07 06:00:09


코레일, 2년 넘게 위탁업자 안 나타나 관리 않고 방치
문화재청 “우리가 관여 못해” 지정만 해놓고 무관심



6일 등록문화재 제428호인 서울 용산구 용산철도병원이 2011년 중앙대병원 철수 뒤 코레일과 문화재청의 관리 소홀로 2년째 방치되면서 도심 속 흉물로 변하고 있다. | 이석우 기자
6일 등록문화재 제428호인 서울 용산구 용산철도병원이 2011년 중앙대병원 철수 뒤 코레일과 문화재청의 관리 소홀로 2년째 방치되면서 도심 속 흉물로 변하고 있다. | 이석우 기자


.
6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 옛 용산철도병원 본관. 붉은 벽돌과 절제된 곡선으로 1929년에 지어진 이 건물은 서양 고전양식에서 근대 건축양식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8년에는 문화재청이 등록문화재 제428호로 지정했다.


하지만 이 건물은 2년 넘게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해 도심 속 흉물로 버려져 있다. 소유주인 코레일은 물론 문화재 지정 주체인 문화재청 역시 가치를 잃어가는 이 건물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2층의 건물 입구에는 폐목재·시멘트가루 등이 수북했고, 쓰레기가 담긴 검은색 봉투들이 즐비했다. 벽면은 녹이 슨 우수관이 흉하게 붙어 있다. 누군가 드나들었는지 창문 일부는 열려 있었고, 또 일부는 합판으로 막혀 있었다. 깨진 소주병과 낙서, 정리되지 않은 풀과 잔나무들….


주민들은 “밤이 되면 젊은 사람들이 드나들기까지 해 무섭다”고 말했다. 관할 지구대는 이 건물을 순찰 대상지역에 포함시켰고, 인근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출입을 금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건물은 러일전쟁 전후 일본이 철도사업을 펼치면서 공사 중 부상당한 노동자들을 위한 병원이었다. 해방 후 철도국(현 코레일) 소유였다가 1981년 건물 뒤편으로 9층 규모의 현대식 병원 건물이 지어졌고, 1984년부터는 중앙대학교가 병원을 위탁 경영했다. 이후 2007년 10월 코레일은 ‘용산병원 부지 개발사업’을 추진하면서 중앙대병원에 임대차 계약 해지를 통지했다. 이후 양측 간 소송이 벌어졌고 2009년 12월 중앙대병원이 코레일에 토지와 건물을 반납하라는 판결이 났다. 중앙대병원은 2011년 3월 건물을 비웠다.


앞서 용산구민들은 “병원이 필요하다”며 개발계획에 반대했고, 2008년 3월 서울시는 이 땅을 ‘종합의료시설’ 부지로 지정했다. 병원 이외 다른 용도로의 개발이 불가능해진 것이다.


코레일은 그동안 이 건물을 임차할 민간업자를 여러 번 공모했으나 토지 용도 제한으로 사업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코레일은 주변에 철조망을 설치하고 경비업체를 고용한 상태다.


코레일 관계자는 “솔직히 문화재적 가치를 잘 모르겠다”며 “관리가 안되고 있는 등록문화재가 이 건물만 아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건물의 관리 책임은 소유주인 코레일에 있다”며 “우리가 관여해서 이래라 저래라 할 수는 없는 문제”라고 말했다.

한국역사문화정책연구원 김란기 대표는 “등록문화재 제도는 미래에 문화재적 가치가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하고 미리 관리하자는 취지”라며 “문화재를 오래 지키기 위해서는 사용자 없이 방치되는 것보다 소유자의 재산가치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활용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311070600095#csidx4478a0c419796e9aca3774dacd13a1c
 
 
프로그램은 네이버 TV캐스트(http://tvcast.naver.com/seoultime) 또는 tbs 홈페이지(tbs.seoul.kr)에서 다시 볼 수 있다.


용산철도병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