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2월 23일 일본 남쪽 화산섬 이오지마(硫黃島)의 수리바치산 정상에 미군 해병대원 6명이 거대한 성조기를 꽂았다. 미군이 6만1000 해병대원을 투입해 요충지 이오지마를 점령한 순간이었다. 미군 6800명, 일본군 2만명이 전사한 혈전 끝에 거둔 값진 승리였다. 해병대원들이 안간힘을 다해 깃발을 꽂는 사진은 곧바로 애국심의 상징이 됐다. 1945년 이오지마전투 기념우표에 이어 1995년 승전 50년 우표에 등장했다.
▶대한민국 국군도 태극기를 휘날리며 승리의 감격을 누린 상징적 순간이 있다. 1950년 9월 27일 오전 6시 10분 서울 탈환에 나선 해병대가 중앙청에서 인공기를 걷어내고 태극기를 올렸다. 박정모 소위가 이끈 해병 2대대 6중대 1소대는 새벽 3시 중앙청 공격을 시도해 치열한 교전 끝에 동틀 무렵 중앙청 안으로 들어갔다.
▶"저항하는 적을 사살하고 옥상으로 올라갔다. 대원들 요대(腰帶)를 이은 것을 밧줄 삼아 옥상에 올라가 돌기둥 중앙에 태극기를 동여맸다." 박 소위가 부하들과 함께 태극기를 올린 이튿날 서울은 90일 만에 수복됐다. 그는 계속 최전선에 나섰고 1961년 대령으로 예편했다. 박정모 대령이 그제 84세로 세상을 떴다.
▶1950년 서울에 남았던 사학자 김성칠은 박정모가 싸웠던 9월 27일 시가전 상황을 일기에 적었다. "몇 시간을 두고 탄환이 빗발치듯 하여 방에 있어도 얼굴을 들 수가 없다. 그중에 한 알이 사랑방 벽을 뚫고 들어와 잉크병을 깨뜨리는 소리에 깜짝 놀랐더니 내 머리 위를 지나가 무사하였다." 트루먼 대통령은 박정모와 부하들에게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숨은 공훈"이라며 표창장을 보냈다.
▶국군은 태극기 게양 순간을 사진에 담지 못했다. 정부는 1959년 9월 27일 중앙청에서 박정모에게 태극기 게양을 재연시키고 사진에 담았다. 미군의 이오지마 깃발 사진도 현장에서 종군기자가 연출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이미지에 담긴 역사적 진실과 감격이 퇴색하진 않았다. 박정모가 유엔군에게 서울 수복의 첫발을 뺏기지 않으려고 사선(死線)을 넘어 태극기를 내건 순간엔 결코 굴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혼(魂)이 담겨 있다.
[기고/고수연 = 국립대전현충원 현충팀] 미국의 트루먼대통령은 그를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숨은 공훈”이라며 표창장을 전달했다. 그는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한 故박정모 해병 대령이다. 1926년 전남 신안에서 태어나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해군소위로 임관하여 전쟁에 참전했다. 인천상륙작전, 금곡전투, 원산상륙작전등 지대한 공을 세워 을지무공훈장 등 많은 훈장을 받았다. 1961년 대령으로 예편했고 2010년 8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우리 심장부인 중앙청에 외국군이 태극기를 게양하면 국민들의 수치가 아니겠냐며 그보다 앞서 태극기를 게양해 온 국민에게 희망을 주고 싶었던 젊은 박정모 소위는 소대원 2명과 함께 시가지에 진지를 구축한 북한군의 총격을 피해가며 중앙청으로 돌격했다. 박정모 해병대령은 서울 수복 하루 전인 1950년 9월 27일 태극기를 걸어 올리는 순간 "내가 이 나이에 온 국민이 소원하는 우리나라 심장부에 자랑스러운 태극기를 직접 꽂았다"는 벅찬 감격에 가슴이 뭉클해지면서 두 눈에서 뚝뚝 쏟아져 내리는 눈물을 막을 수 없었다고 한다.
최근에는 북한의 목함지뢰와 포격도발로 인한 남북대치와 일촉즉발의 위기 속에서 전역을 연기하고 군에 남은 장병이 많았다. 그것도 북한군과 마주하는 최전방에서 복무 중이던 장병들이다. 언론에서는 관심사병, 총기사고, 입대기피 등을 보도하고 국민은 군을 신뢰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우리는 언제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을 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국권회복을 위해 몸을 바치신 분들이 계셨고, 6.25전쟁 때도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키신 분들이 계셨으며, IMF때도 온 국민이 똘똘 뭉쳤다. 6.25전쟁 때 젊은 박정모 소위가 있다면 지금은 전역을 연기한 젊은 장병이 있다.
무더위가 가고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고, 청명한 하늘을 보면 가을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익어가는 곡식과 과일을 보면 마음이 풍성해 진다. 나는 9월이면 故박정모대령을 생각한다. 국립대전현충원에서도 9월의 현충인물(2014년)로 선정한 바 있다. 나는 젊은 박정모소위를 생각하며 전역을 연기한 젊은 장병을 생각한다. 또한 모든 장병들을 생각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그들은 약하지 않다. 그들은 강하다. 위기 상황 속에서 그들은 국가를 위해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 몸 바쳐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 그들은 대한민국 국군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