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근 교수의
동양고전이 뭐길래?
한 권으로 시작하는 동양고전 핵심 명저 25
동양고전이 뭐길래?
한 권으로 시작하는 동양고전 핵심 명저 25

우리 시대 대표적 인문학자
신정근 교수의 제대로 읽는 동양고전
“동양고전의 높이 낮추기와 무게 줄이기에 도전하다!”
원칙적이면서도 새롭고, 진취적이면서도 치우치지 않는,
제대로 읽는 동양고전
1. 아무나 쓸 수 있을 것 같지만 누구도 쓸 수 없는, 동양고전의 숲을 관통하여 천의무봉(天衣無縫)의 씨줄과 날줄로 오천 년 동양의 사고와 지혜를 단 한 권으로 압축하다
누가 함부로 동양고전을 한 권으로 안내하겠다 하는가? 논어 한 권을 평생의 해타咳唾로 삼고 정진한 수많은 선비들이 있었거늘, 학문에 대한 경외가 오롯이 선비의 길이거늘, 누가 감히 동양고전 25책을 한 권으로 펼쳐 보이겠다 하는가?
책도 자본주의 시장의 산물이므로 얼마든지 얼치기들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한글이 모국어라서 한문을 모르는 우리에게, 21세기 현대에서 서구 과학문명이 전부인 우리에게, 우리가 동양인이며 의식의 심층에 동양적 사고가 자리 잡고 있고 이것이 21세기 몰락하는 서구 이념에 대안이 된다고 쉽고도 틀림없이 이야기해줄 책이 있었는가? 명실상부하게 동양고전 안내서에 어울리는 정본Canon이 있었는가?
다행히도 있다. 정통학자는 아니지만 신영복 선생의 『강의』와 기세춘 선생의 『동양고전 산책』 등 뛰어난 책들이 있다. 동아시아 전체에서도 빠지지 않는 저술이다. 그러나 아주 작은 염려지만, 고전은 해석의 산물이다. 즉 고전은 자체로 존재하지만 끊임없이 새롭게 해석되고 변형되는 살아있는 생물이다. 어느 시대건 고전이 위대한 이유이다. 같은 맥락에서 전술한 신영복, 기세춘 선생의 책은 이데올로기적 해석이 너무 강한 아쉬움이 있다.
그래서 우리 시대 걸출한 인문학자이자 뛰어난 동양고전 전도사인 신정근 교수가 발 벗고 나섰다. 고전을 가장 원전에 가깝게 해석하여 독자에게 자의적 판단을 경계한다. 동시에 역사적 의미 있는 해석들을 열거하여 판단의 개방을 유도한다. 그러면서도 21세기 현대인들에게 동양고전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최우선 염두에 두었다. 따라서 책은 원전에 가장 가까우면서도 새롭고, 이데올로기의 다양성에도 천칭天秤의 균형을 갖추었다. 신 교수는 자신의 아들에게 천박하지 않고 심도 있으며, 새로운 해석의 관점을 지니면서도 균형 있는 단 한 권의 동양고전의 안내서를 권한다는 심정으로 책을 썼다.
2. 지금 출판계에는 동양고전 붐이 일고 있다. 현대인들은 왜 지금 동양고전을 찾는 걸까?
최근 동양고전에 대해 새롭게 해석한 책들이 출판시장에서 강세를 이루고 있다. 한 언론매체에 의하면 “불황 탓에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고전을 통해 인생의 지혜를 찾으려는 독자들이 대폭 늘면서 관련 책도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고 한다.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동양고전은 끊임없이 쏟아지던 경제 경영서나 자기계발서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LG CNS 김영섭 부사장은 서양의 저명한 인사들이 지은 리더십 관련 책들에서는 찾을 수 없는 깊이와 울림을 동양고전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대부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양의 저명한 인사들이 지은 리더십 관련 책들을 읽고 나의 리더십이 훨씬 좋아졌다고 느껴본 적이 없다. 그 이유는 기본적으로 우리에게 내재되어 있는 문화 DNA가 서양인들과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서양문화 속에서 사는 서양 사람들은 공감도 되고 따라하기가 쉬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동양인인 우리에게는 동양의 고전이야말로 우리의 마음에 딱 와 닿는 느낌으로 우리를 가르쳐준다.”
애플의 창업자이자 CEO였으며 창조 경영의 아이콘으로 평가받는 스티브 잡스는 “기술과 인문학 융합이 애플의 DNA”라고 말할 정도로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한 인물이다. 그가 동양철학에 심취해 대학을 중퇴하고 인도로 여행을 떠난 일화는 이미 알려져 있다. 생전에 그가 남긴 어록 중 “단순함이 복잡함보다 어렵다”, “인생은 영원하지 않다. 매일을 인생의 마지막 날처럼 살아라” 등에서는 동양고전에서 터득한 삶의 철학이 엿보인다. 이처럼 동양고전 속에는 동서양을 아우르는 삶의 지혜와 창조의 아이디어가 들어있어 현대인들에게 주목받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신정근 교수의 동양고전이 뭐길래?』는 우리 시대 대표적 인 문학자 신정근 교수가 동양고전 25책(팔경오서십이자)을 모아 원칙적이면서도 새롭고, 진취적이면서도 치우치지 않게 해석한 책이다. 각각의 책이 가지고 있는 주제와 핵심을 현대적인 관점으로 담아냈다. 경제력은 물론 국제적 입지에서도 한중일이 차지하는 지위가 점점 커져 가는 이때, 21세기를 지배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을 동양고전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동양고전에 대해 설명하고 안내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신정근 교수가 쓴 이 책은 동양고전을 보는 낡은 지식을
나열하기보다는 이 시대의 문제의식을 창출하는 도발적 질문이 있고, 중국이나 일본의 관점을 설명하기보다는 한국의 사유
와 신정근 교수의 독특한 관점이 있어 동양 고전을 향한 산뜻한 접근을 가능케 한다. 이 책은 이 시대의 이 땅에 사는 사람이
왜 동양 고전을 읽고 생각해야 하는가를 명료하게 보여준다. -안대회(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
3. 어떻게 하면 고전의 높이를 낮추고 무게를 줄여서 대등한 지평에서 만날 수 있을지 고민한 책이다.
하지만 그동안은 이러한 동양고전의 깊이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오랜 학습과 지식이라는 중무장이 필요해 선뜻 발을 담글 엄두를 내지 못했었다. 중국의 역사를 알아야 했고, 한자를 익혀야 했으며, 성인들의 계보를 외워야 했다. 더 나아가서는 동양고전에 담긴 내용을 오늘날의 지혜로 만들기 위한 해석 또한 필요했던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 대중들의 뇌리에는 동양고전이 어렵다는 인식이 아직도 뿌리 깊게 박혀 있다. 옛날 다른 나라 성인들의 가르침일 뿐이라는 생각도 동양고전에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요인일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과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오늘날의 시각들로 해석한 동양고전이 많이 출간되고 있는데, 그간의 도서들과 다른 눈으로 동양고전 25책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여 그 정수와 핵심을 빚은 책이 바로 『신정근 교수의 동양고전이 뭐길래?』이다. 책은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동양고전 25책을 선정하여 한 권 한 권이 갖는 책의 의미와 핵심을 신정근 교수의 오랜 탐구와 혁명적인 독법으로 동양고전을 창조적으로 해석한 책이다.
이 책은 ‘동양고전’이라는 험준한 산에서 25개의 높은 봉우리를 직접 답 사한 이의 자상하고도 심도 깊은 안내서라고 할 수 있다. 오랜 답사과정에서 얻은 심득들을 곱씹어 오늘날의 표현방식으로 서술하였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목적한 고봉준령의 비경를 골고루 깊이 있게 감상하는 행운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 성태용(건국대 철학과 교수, 한국철학회 회장)


반응형
'스토리 > 複雜單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분(春分) (0) | 2023.05.29 |
---|---|
24節氣의 由來와 時期 (0) | 2023.05.29 |
檢判事 誤判으로 24년 징역산 재미교포 (1) | 2023.05.29 |
Locked Away for 24 Years, an Exonerated Man Still Feels Imprisoned (0) | 2023.05.29 |
신춘음악회 (1) | 202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