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81

또 다시 분열한 야권과 신민당의 탄생 [한국정당사④]

또 다시 분열한 야권과 신민당의 탄생 [한국정당사④] 정진호 기자 승인 2023.06.21 17:45 댓글 0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윤보선 탈당으로 분열했던 야권…제6대 대선 앞두고 신민당으로 다시 통합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 정진호 기자) 윤보선 탈당으로 분열했던 야권은 제6대 대선을 앞두고 신민당으로 다시 통합된다. ⓒ시사오늘 김유종 대한민국 야당사는 ‘분열과 통합의 역사’라고들 합니다. 대통령이라는 확실한 중심이 있는 여당과 달리, 야당은 본질적으로 구심력(求心力)이 약할 수밖에 없으니까요. 민중당(民衆黨)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창당 직후부터 윤보선계와 박순천계가 반목(反目)했던 민중당은, 불과 1년도 안 돼 민중당과 신한당(新韓黨)으로 분리됩니다. 민중당 분당(分黨)..

박정희 등장과 민중당으로 하나 된 야권 [한국정당사③]

박정희 등장과 민중당으로 하나 된 야권 [한국정당사③] 정진호 기자 승인 2023.06.14 09:07 댓글 0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5·16 군사정변으로 기존 정당 해체…1963년 정치활동 재개 허용 후 야당 난립 한일 국교 정상화 계기로 야권 통합 목소리 커져…민정당·민주당, 민중당으로 통합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 정진호 기자) 1963년 정치활동 재개 허용 이후, 야당이 난립하면서 박정희 정권은 안정적으로 다수 의석을 확보한다. ⓒ시사오늘 김유종 정국(政局)이 혼란스럽다는 건 국가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물리력을 손에 쥔 쪽은 ‘딴생각’을 하기 마련이죠. 1961년 5월 16일. 박정희를 비롯한 육군 장교들은 무력..

자유당의 몰락과 민주당의 분열 [한국정당사②]

정진호 기자 승인 2023.06.07 18:05 댓글 0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4·19 혁명으로 자유당 몰락하고 민주당 정권 잡았지만…구파·신파 갈등에 민주당도 분열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 정진호 기자) 4·19 혁명으로 자유당이 몰락하고 민주당이 정권을 잡았지만, 내부 갈등으로 민주당도 분열의 길을 걷는다. ⓒ시사오늘 김유종 창당 이듬해인 1956년. 민주당은 제3대 대선을 앞두고 신익희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합니다. 이때 신익희가 내세운 구호가 그 유명한 ‘못살겠다 갈아보자’였죠. 그러나 건강이 좋지 않던 신익희는 선거 유세를 위해 전주로 가던 중 뇌일혈로 졸도했고, 급히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이로써 이승만의 집권은 4년 더 연장됩니다. 1960년 제..

양당 정치의 시작…자유당과 민주당의 탄생 [한국정당사①]

양당 정치의 시작…자유당과 민주당의 탄생 [한국정당사①] 정진호 기자 승인 2023.05.30 20:55 댓글 1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이승만 재선 위해 만들어진 자유당…민주당, 이승만 사사오입 개헌에 반발해 창당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 정진호 기자) 우리 정치권에선 종종 ‘뿌리 논쟁’이 일어납니다. 상대 진영의 모태(母胎)를 ‘친일 세력’, ‘종북 세력’ 등으로 규정해 부정적 이미지를 씌우고, 자신들이 정통성을 독점함으로써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는 전략입니다. 불과 몇 달 전에도 여야 대표가 ‘친일 논란’에 대해 입씨름을 벌였던 것을 상기하면, 상대의 뿌리를 공격하는 책략이 꽤 효과적인 모양입니다. 그러나 이 같은 언쟁을 보고 있으면 허무할 때가 많습니다. 얽히고설킨 우리나라..

파도

바니걸스 파도 1971년** 파도가 밀려가고 갈매기가 울던 날나의 사랑은 허무하게 끝이 났어요파도에 밀리는 물거품처럼잡지도 못하고 흩어진 사랑이미련없이 깨질때는 그 사람이 미웠어요그렇지만 나에게도 잘못이 있어요 파도에 밀리는 물거품처럼잡지도 못하고 흩어진 사랑이미련없이 깨질때는 그 사람이 미웠어요그렇지만 나에게도 잘못이 있어요 주현미 파도 부딪혀서 깨어지는 물거품만 남기고 가버린 그사람을 못잊어 웁니다 파도는 영원한데 그런 사랑을 맺을수도 있으련만밀리는 파도처럼 내 사랑도 부서지고 물거품만 맴을 도네 그렇게도 그리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