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84

裡里驛 1977년 11월 11일

裡里驛 1977년 11월 11일 [이리역 폭파현장] 1977년 11월 11일 밤 9시15분쯤의 전북 이리(현 익산). 시민들은 월드컵 아시아 예선전 한국 대 이란 경기를 TV로 지켜보고 있었고, 시내 삼남극장에서는 700여명의 방청객이 몰려든 가운데 ‘하춘화쇼’가 시작되고 있었다. 진행자 이주일이 막 오프닝멘트를 마친 순간, 갑자기 “꽝!” 하며 천지를 진동하는 대형 폭발음과 함께 엄청난 불기둥이 이리역에서 솟아올랐다. 다량의 폭약을 싣고 인천을 떠나 광주로 향하던 화물열차가 이리역에서 대기 중 호송원이 켜놓은 촛불이 원인이 돼 폭발한 것이다. 폭발 지점에는 지름이 30m나 되는 5층 높이의 웅덩이가 패였고 반경 500m 안은 전쟁터나 다름없었다. 이리역에서 100m 떨어진 삼남극장도 지붕이 날아가고 1..

裵貞子

裵貞子 친일진상규명법 제정을 계기로 최근 우리사회에 친일파 논쟁이 뜨겁습니다. 는 친일문제연구가인 정운현 편집국장이 지난 98년부터 1년여 (현 서울신문)에서 연재한 후 단행본으로 묶어펴낸 (개마고원 출간)의 내용을 '미리보는 친일인명사전' 형식으로 다시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1920년대 만주에서 밀정으로 활동할 당시의 배정자. 50대 나이 치고는 젊고 세련된 모습이다. 1949년 2월초 반민특위 강명규(姜明珪) 조사관 일행이 성북동 언덕길을 급히 오르고 있었다. 이윽고 한 양옥집 앞에 다다른 강 조사관 일행은 백발의 한 노파를 끌어내 수갑을 채우고는 그 길로 남대문로 반민특위 사무실로 연행하였다. 당시 그 노파의 나이 79세. 겉으로 보기엔 여느 노인네들과 마찬가지로 늙고 초라한 모습이었다. ..

을사조약과 국권의 유린

을사조약과 국권의 유린 을사조약과 국권의 유린 노일전쟁(露日戰爭)은 1905년 1월에 여순(旅順)이 함락되고, 3월에 봉천회전(奉天會戰)에서 일본의 승리, 그리고 5월에 남해 앞바다에서 발틱함대를 물리치고 일본이 승리하자 미국 루즈벨트대통령의 알선으로 노 일 양국은 9월에 포츠머스강화조약을 체결하였다. 당시 미국의 극동정책은 처음부터 일본에 대해서는 일본의 한국 침략을 승인하는 대가로, 중국에 있어서는 러시아 세력의 남하(南下)를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미국이 중국에 진출하려고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미국은 노 일 양국의 조정역할을 스스로 자원했던 것이다. 1905년 9월에 조인된 노일강화조약(露日講和條約) 제2조에 「러시아 정부는 일본이 한국에 있어서 정치 군사 경제의 우월한 권리를 승인하고 앞으..

을사오적 이지용

을사오적 이지용 이지용 [李址鎔, 1870~1928] 본관 전주(全州). 자 경천(景天). 호 향운(響雲). 초명 은용(垠鎔). 1887년(고종 2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요직을 거쳐 황해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1900년(광무 4) 궁내부협판(宮內府協辦), 이듬해 주일전권공사(駐日全權公使)를 지내고 1904년 보빙대사(報聘大使)로 일본에 다녀와 외부대신 서리로서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에 조인했다. 후에 법부대신 ·규장각학사 ·돈령부판사 등을 거쳐, 1905년 내부대신 때 을사조약에 찬성하여 조인에 서명함으로써 을사5적(乙巳五賊)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07년(융희 1) 중추원 의장(中樞院議長)이 되고 1910년 국권피탈이 되자 일본 정부가 주는 백작(伯爵) 칭호를 받고, 중추원 고문에..

尖閣諸島=釣魚島(台)/ 南沙群島 紛爭

尖閣諸島=釣魚島(台)/ 南沙群島 紛爭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분쟁 1. 센카쿠 열도 개관(일본의 명칭 사용) 1) 센카쿠 열도의 위치 센카쿠/조어도/조어대(각 일본, 중국 및 대만명)는 일본 오키나와 서남쪽 약 400km, 중국대륙 동쪽 약 350km, 대만 북동쪽 190km 동중국해상에 위치. 2) 센카쿠 열도 지리 현황 센카쿠 열도는, 우오츠리도(魚釣島 / Uotsuri-jima), 코지마, 남 작은 섬, 구바시마, 다이쇼지마 5섬과 3개 암초들의 총칭. ------------------------------------------------------------------------------------ 魚釣島, 北小島, 南小島, 久場島, 大正島 > island.gif Okinawa_pref3-1...

전범재판 [戰犯裁判]

전범재판 [戰犯裁判] 전범재판 [戰犯裁判] 요약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5~1948년 독일의 뉘른베르크와 일본의 도쿄에서 전쟁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거행된 재판. 본문 [네이버 부분발췌] ◀ 뉘른베르크의 전범재판 / 유럽에서 2차대전이 끝난 후 뉘른베르크에서 나치 전범들에 대한 재판이 진행 되고 있다. 전쟁을 범죄로 규정하게 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부터이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베르사유 평화조약에서는 독일황제 빌헬름 2세의 책임을 물어 소추를 결정했으나, 네덜란드 정부가 신병인도를 거부했기 때문에 실행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전쟁을 일으킨 당사자들을 재판할 수 있다는 인식을 확산시킨 획기적 사건이었다. 전쟁이 발발한 후에 병력에 속한 자 또는 병력에 속하지 않는 자가 전시법규에 위반한 행위를 하고..

San Francisco Peace Treaty

San Francisco Peace Treaty : 0 2005년 3월 16일의 스케치竹島・在ソウル日本大使館にデモ隊 ソウルの日本大使館前で、島根県議会の「竹島の日」条例案可決に抗議するデモ隊。また、同県と姉妹関係にある韓国・慶尚北道は「(島根県との)提携関係を撤回し、断交を宣言する」との声明を発表した(16日)(時事通信社)18時51分更新/서울의 일본대사관앞에서 시마네현 의회의 "다께시마의 날" 조례 가결에 항의하는 시위대(데모대). 또한, 시마네현과 자매결연관계에 있는 한국 경상북도는 "제휴관계를 철회하고 단교를 선언한다." 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일장기 클릭 ----------------------------------------------------------------------------------- 일본의 독도사..

샌프란시스코 조약

샌프란시스코 조약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독도분쟁 그리고 영국지도 독도 한국영토 규정 영국정부 지도 발굴 2005/02/27 05:00 송고 샌프란시스코조약 직전, 1951년 3월 작성 목포대 정병준 교수,美문서기록청서 찾아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2차 세계대전 전후처리를 위해 연합국과 패전국 일본이 1951년 9월 8일에 조인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준비과정에서 유일하게 작성된 지도이자, 독도를 한국영토로 명백히 규정한 영국정부의 자료가 발굴됐다. 이 지도는 2차대전 전승국이자 미국과 함께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과정에서 연합국 주축을 형성한 영국정부가 독자적으로 준비해 미국정부에 통보한 평화조약 초안에 포함된 것으로, 선으로 표시한 일본영토에서 독도를 확연히 배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도는 2차..

獨島와 竹島/ 兩國의 異念과 理念

獨島와 竹島/ 兩國의 異念과 理念 '독도의 날' 제정 日 도발에 분명한 대응 쐐기 박아야 [노컷뉴스] 2005/03/11 07:48 [우경화와 맞물려 영유권 주장 빈발 예상, 정부 16일까지 지켜본 뒤 대응 방침] '독도의 날' 조례안이 10일 시마네현 의회 상임위에서 가결되면서 오는 16일 본회의 통과가 확실시되고 있다. 정부는 조례안이 끝내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강력히 대응할 방침이다. '독도의 날' 시마네현 의회 상임위 가결, 본회의 통과 확실 일본 시마네 현의회 총무위원회는 10일 독도의 날 제정 조례안을 가결했다. 심의만 하고 가결은 하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없지 않았지만 현 상임위는 오전에 조례안에 대한 심의에 들어가 보란듯이 곧바로 가결했다. 총무위원회는 조례안을 제안하는 이유로 "다케시마는..

미국대통령 vs 한국대통령

미국대통령 vs 한국대통령 [칼럼]레이건이 부러운 이유 [뉴스메이커 2004-06-20 21:44]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재임 때보다 퇴임 후에 더 많은 인기를 누리는 정치인이다. 세계의 분쟁지역을 다니며 평화조정자의 역할을 하면서 손수 연장을 든 목수가 되어 집짓기운동에도 나서는 등 퇴임 후의 활동이 재임 시절의 활동보다 훨씬 더 돋보이기 때문이다. 비록 재선엔 실패했지만 퇴임 후의 활동으로 '실패한 대통령'이라는 오명을 씻어냈다. 북한 김일성 주석의 사망으로 무산되었지만 1994년 평양과 서울을 방문, 남북정상회담의 합의를 이끌어낸 사람도 카터였다. 그가 얼어붙었던 남북관계에 화해의 물꼬를 트고 귀국하자 부르킹스 연구소의 한 연구원은 "얼마나 멋있는 일인가. 그가 처음부터 전직 대통령이었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