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84

[집단이민 60년] ① 기회의 땅 찾아 2만㎞ 항해, 이젠 한류 전초기지로

[집단이민 60년] ① 기회의 땅 찾아 2만㎞ 항해, 이젠 한류 전초기지로 [집단이민 60년] ① 기회의 땅 찾아 2만㎞ 항해, 이젠 한류 전초기지로 송고시간2023-02-10 07:00 요약beta 공유 댓글 글자크기조정 인쇄 1963년 브라질에 103명 첫발…남미·동남아 이주 붐으로 확산 영농이민 실패 뒤 대부분 도시 정착…의류업 등 통해 부 축적 부침 거치며 한인공동체 형성…12일 상파울루서 한복 퍼레이드 브라질 산투스항 전경 [촬영 이재림 특파원] (상파울루=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대한민국 정부에서 추진해 구성된 최초의 집단 영농 이민단이 이역만리 브라질 땅을 밟은 지 오는 12일로 꼭 60주년을 맞았다. 지금은 생소한 개념인 집단 이민은 더 좋은 곳에서 살고자 하는 개인적 열망과 전후 불거..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유럽의 제국주의가 일으킨 재앙 전쟁 국가 : 연합국(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vs. 동맹국(독일, 오스트리아 등) 연도 : 1914~1918년 목차 제국주의 국가들, 식민지 쟁탈전을 벌이다 유럽의 화약고에서 전쟁의 불씨가 타오르다 발칸 반도의 전쟁이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확대되다 삼국 동맹과 삼국 협상이 대결을 벌이다 전 세계 제국주의 국가들이 참전하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약 천만 명이 죽고 약 2천만 명이 부상을 당한 큰 싸움이었어요. 이 전쟁은 유럽의 제국주의 국가들 사이에서 일어났지요. '세계 대전'은 여러 나라들이 한꺼번에 전쟁에 참가해서 붙은 이름이랍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의 군인 모집 포스터 제국주의 국가들, 식민지 쟁탈전을 벌이다 1..

[만물상] 기모란까지, 문 정권의 통혁당 인맥

[만물상] 기모란까지, 문 정권의 통혁당 인맥 [만물상] 기모란까지, 문 정권의 통혁당 인맥 배성규 논설위원 입력 2021.04.22 03:18 | 수정 2021.04.22 03:18 1968년 8월 20일 제주 앞바다에 북한 공작선이 출현했다. 북 노동당의 남한 지하조직인 통일혁명당의 당수 김종태·이문규 등을 태우고 가려는 것이었다. 우리 군과 교전 끝에 북 공작원 12명이 사살됐다. 일명 통혁당 사건으로 김종태를 비롯한 주범 5명이 사형을 선고받고 158명이 검거됐다. 김종태는 4차례 북한을 오가며 김일성을 면담하고 거액의 공작금을 받았다. 무장 봉기와 정부 전복을 노리며 신영복·박성준·기세춘 등 학계·문화계 인사와 학생 등을 포섭했다. 통혁당 책임비서였던 신영복, 청년 조직을 이끈 박성준은 각각 무..

충성과 반역* "검은 역사의 살아 있는 유령들"

충성과 반역* "검은 역사의 살아 있는 유령들" 《충성과 반역》-한국전의 진정한 영웅, 일본군지원병 출신들의 숨겨진 공적을 발굴한 책 趙甲濟 몇 년 전 애국활동가 모임이 6·25 동란 65주년을 맞아 故 李大鎔 장군을 초청, 강연을 들었다. 육사 7기 출신인 그는 남침 때 춘천을 사흘간 방어, 북한군의 전략을 흐트러놓은 6사단(사단장 金鐘五 대령)의 핵심인 7연대(연대장 林富澤 중령) 소속 중대장이었다. 李 중대장은 북진 때는 맨처음 압록강(초산 북방, 1951년 10월 하순)에 도달, 새파란 강물을 떠서 李承晩 대통령에게 보낸 이였다. 그때는 남북통일이 다 되었다고 믿었다고 한다. 압록강을 너머 만주 땅을 바라보면서 사흘간 후속 부대가 도착하기를 기다렸다. 그 사흘간 자신만의 남북통일을 경험한 사람이다..

의열단 100주년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이후인 1919년 11월10일. 만주의 한 시골 마을에 신흥무관학교 출신 젊은이 13명이 모였다. 이들은 대한의 독립을 위해 항일 무장 투쟁을 벌이기로 뜻을 모아 조선의열단을 결성했다. 뉴시스는 프랑스 레지스탕스 활동에 비견되는 의열단의 창단 100주년을 맞아 '조선의열단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도움으로 의열단의 대표적 인물들을 매주 소개한다. 독립운동사에 지울 수 없는 족적을 남겼음에도 잊혀져만 가는 선인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을 광복절을 앞두고 재조명해 본다. 전문 파일 의열단 100주년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우린 선 너흰 악" 386세대 DNA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우린 선 너흰 악" 386세대 DNA “우리는 선, 너희는 악”…진영 논리와 이분법적 사고 386세대는 ‘확실하고 분명한 적(군사정권)’과 싸웠다. 우리 편은 선이고 상대는 악이라는 인식이 아주 강렬했다. 그 중간의 개념은 끼어들 틈이 없었다. 386 운동권의 ‘맏형’으로 불리는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연세대 81학번, 총학생회장 출신)은 “386세대가 어린 시절 사회 운동을 하면서 나는 옳게 살았고 도덕적이고, 나와 진영을 달리하는 사람은 뭔가 문제가 있는 사람처럼 보는 습성이 생겼다”며 “우리가 가진 배타적 사고를 깨고 진영논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강원택 교수도 “386세대는 모든 것을 선악 구조로 나눠 이분법적 사고를 하는 특징이 있다”며 “하지만 현대사회..

서울도성

서울도성 서울을 둘러싼 성에는 4대문과 4소문이 있다. 태조 이성계가 1394년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1396년 도성을 쌓았다. 정도전이 성벽과 성문의 위치를 정하고, 성문의 이름을 지었다. 유교국가의 통치이념인 인의예지(仁義禮智)에 맞추어 동대문은 흥인지문(興仁之門), 서대문은 돈의문(敦義門), 남대문은 숭례문(崇禮門) 이라 지었으나 북문만 숙청문(肅淸門)으로 지었다가 숙정문(肅靖門)으로 바꾸었다. 4대문 사이에 4소문을 세웠다. 남대문과 서대문 사이에 소의문(昭義門-서소문), 서대문과 북문 사이에 창의문(彰 義門-북소문), 북문과 동대문 사이에 혜화문(惠化門-동소문), 동대문과 남대문 사이에 광희문(光熙門-남소문)을 지어 모두 8개의 문을 만들었다. 태조 때 118,070명을 동원하여 49일 만에 ..

호주제 폐지 그 이후

호주제 폐지 그 이후 20問 20答 - 호주제 폐지 그 이후 혼인신고 때 어느 姓 따를지 결정 쌍둥이도 姓 달라질 수 있어 繼父의 姓을 따르면 親子로 기록 「姓을 바꾼 아이가 生父의 재산을 물려받을 수 있는가」 등 많은 사안들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李相欣 月刊朝鮮 기자 (hanal@chosun.com) 戶主制(호주제)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개정된 민법 중 가장 크게 바뀐 案은 ▲호주제(호주로 대표되던 家族제도) 폐지 ▲夫婦 합의 시 母系 姓(성) 승계 ▲父母 또는 子의 청구에 의한 姓 변경 가능 ▲親養子制(친양자제: 養父의 姓을 따르고 호적에 親生子로 기재) 신설이다. 호주제 폐지로 호적 등·초본이 폐기되고 새로운 양식의 신분등록제도를 마련하여 2008년 1월1일부터 시행된다. 대법원과 법무부는 ..

사탕수수밭의 가난·이별 그리고 恨

사탕수수밭의 가난·이별 그리고 恨 [광복 60주년 특별기획|코리안 디아스포라⑤ 쿠바] 사탕수수밭의 가난·이별 그리고 恨 “카스트로 혁명으로 차별 이겼지만 韓人 정체성 잃고 말마저 잊어” 쿠바 아바나=김재명 분쟁지역전문기자(kimsphoto@yahoo.com) 지난 3월로 쿠바 이민사는 84년을 맞았다. 그 84년이라는 세월의 두께는 고통과 절망, 그리고 억척같은 생존 의지로 켜켜이 다져졌다. 두고 온 고국의 산하를 그리워하기는커녕 생존에 급했던 나날들이었다. 쿠바 이민사는 수탈과 눈물, 생존의 몸부림과 고국에 대한 그리움이 뒤섞인 恨의 역사다.카스트로의 쿠바혁명 뒤 높아진 교육 기회에도 불구하고 쿠바 한인들 대부분은 가난을 대물림한 모습이다. 1921년 3월 274명의 조국 잃은 유랑민이 멕시코를 거쳐 ..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The obligation of honorable, generous, and responsible behavior associated with high rank or birth. 지도자의 도덕적 의무/noblesse oblige 높은 사회적 신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를 뜻하는 말이다. 초기 로마시대에 왕과 귀족들이 보여 준 투철한 도덕의식과 솔선수범하는 공공정신에서 비롯되었다. 초기 로마 사회에서는 사회 고위층의 공공봉사와 기부·헌납 등의 전통이 강하였고, 이러한 행위는 의무인 동시에 명예로 인식되면서 자발적이고 경쟁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귀족 등의 고위층이 전쟁에 참여하는 전통은 더욱 확고했는데, 한 예로 한니발의 카르타고와 벌인 16년 간의 제2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