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679

만주군관학교(満州国陸軍軍官学校) 졸업생

만주군관학교(満州国陸軍軍官学校) 졸업생 [봉천군관학교] •4기 – 5명 ◦김응조: 만주군사병 출신. 훗날 대한민국 국군 육군 준장을 지냈다. ◦계인주: 만주군사병 출신. 헌병병과. HID 대장으로 켈로(KLO) 부대 통솔 ◦강재호: 간도특설대 ◦박봉조: 간도특설대 ◦이원형: 간도특설대 •5기 – 18명 합격(1명 퇴교, 1명 소속변경). 응모 자격에 조선계 명시. 간도특설대 창설 멤버. ◦정일권: 일본육사 55기 편입. 한국군 육군 대장, 국무총리. ◦김일환: 한국군 육군 중장, 교통부장관. ◦김백일: 간도특설대. 본명 김찬규. 한국군 육군 중장. ◦김석범: 간도특설대. 일본육사 54기 편입. 한국군 해병 중장.[5] ◦송석하: 간도특설대. 수석졸업. 한국군 육군 소장. ◦신현준: 간도특설대. 본명 신봉..

친일과 비리의 주홍글씨

친일과 비리의 주홍글씨 [이슈 논쟁] 비리·친일 등 과오만 보지말고 공적 포함한 균형적 평가 이뤄져야 입력 2011.08.16. 21:07 수정 2011.08.17. 00:57 댓글 0개 ●찬성'英 장교 출신' 조지 워싱턴, 친영파 비난 못해이분법적 사고가 낳는 '인격 테러' 지양해야 국립묘지 현충원에는 국가원수와 국가에 현저하게 기여한 유공자, 그리고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애국열사들이 묻혀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안현태 전 대통령 경호실장의 대전 현충원 안장에 대해 5·18유관단체들은 그가 5공비리 인사였다는 점을 거론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백선엽 장군의 경우 사망 후 서울현충원에 안장하기로 했다는데 대해선 민족문제연구소를 중심으로 친일파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안현태는 이미 복권되었고..

임진강(臨津江) * 조청미(趙淸美)

. 임진강(臨津江) * 조청미(趙淸美) 재일조선인의 꽃, 프리마돈나 조청미(趙淸美). 북한 예술로 읽다(6) 이철주 편집기획위원 승인 2016.08.17 17:44 1957년 일본 후쿠오카현에서 사는 경상도 출신의 탄광 징용자로 총련 상공회 초대회장을 지낸 동포 상공인 조봉대와 진영례의 7남매 중 3녀로 태어나, ‘우리학교’인 규슈(九州)조선중고급학교로 진학해 우리말과 민족예술을 배웠다. 소조 활동시 성악, 피아노, 발레, 피겨스케이팅 등에서 남다른 재능을 보여 온 그녀에게 운명적인 만남이 찾아 온 것은 16살 때였다. 1973년 7월30일 국립평양만수대예술단이 일본을 최초로 방문했다. 아사히신문 공동주최로, 8월2일부터 동경, 나고야, 오사카, 교토 등 7개 도시를 9월7일까지 순회한 혁명가극 ‘꽃파는..

응웬 응옥 로안(Nguyen Ngoc Loan)은 어떻게 비열한 거리의 주인공이 됐나

응웬 응옥 로안(Nguyen Ngoc Loan)은 어떻게 비열한 거리의 주인공이 됐나 고경태의 1968년 그날 사내의 두개골에 박힌 총알은 순간… ④ 피의 뗏(구정) 공세- 응웬응옥로 안은 어떻게 비열한 거리의 주인공이 됐나 흡! 숨이 멎었다. 아니 세상이 멎은 것 같았다. 사내는 눈을 질끈 감았다. 두 손목을 움직였지만 꼼짝도 안 했다. 정글복에 철모를 쓴 군인이 오른편에서 인상을 찌푸리며 이쪽을 응시한다. 텅 빈 거리 저 멀리서 군용차 한 대가 달려오는 모습이 희미하다. 응웬응옥로안(38·이하 로안) 장군은 그의 이마에 리볼버 38구경 권총을 들이댔다. 오른손 검지에 힘을 주려는 절체절명의 순간…. 의 카메라 기자 에디 애덤스(35)가 찍은 스틸 사진은, 보는 이의 심장을 멎게 한다. 이번엔 의 베트..

구엔 곡 로안(Nguyen Ngoc Loan)=응웬 응옥 로안

구엔 곡 로안(Nguyen Ngoc Loan)=응웬 응옥 로안 베트남전쟁 사진 ‘사이공식처형’ 한남자 인생 망쳤다(서프라이즈) 2015-01-18 11:12:48 한 장의 베트남전쟁 사진이 한 사람의 인생을 망쳤다. 1월 18일 방송된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AP통신의 베트남 전쟁 사진 한 장에 대한 비밀이 전해졌다. 1960년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이 베트남의 통일과 미국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요구하며 벌인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당시, 에디 애덤스는 AP통신 종군기자로 베트남전쟁에 파견됐다. 이 과정에서 에디 애덤스는 무장한 베트남 군인이 민간인에게 총을 겨누는 모습을 목격하고 그 장면을 찍어 보도했다. 해당 사진은 '사이공식 처형'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

[어제의 오늘] 1794년 ‘공포정치’ 주역 로베스피에르 처형

[어제의 오늘]1794년 ‘공포정치’ 주역 로베스피에르 처형 김준기 기자 jkkim@kyunghyang.com 입력 : 2011.07.27 21:50:01 끝내 단두대로 끌려간 혁명가 프랑스 혁명이 만든 발명품 중 하나가 단두대(기요틴)다. 참수형 죄수들의 고통을 줄인다는 명목으로 만들어진 이 무시무시한 도구는 혁명이 고조되던 1793~1794년에만 1만7000여명의 목숨을 앗았다. 이 단두대에 가장 많은 사람을 밀어넣은 이도 결국 그 아래 목을 내미는 신세가 된다.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다. 1758년 북프랑스 아라스에서 태어난 로베스피에르는 어릴 때부터 총명했다. 파리의 명문 루이르그랑 학원을 다녔는데, 당시 왕위에 오른 루이 16세가 학원을 방문하자 학생 대표로 환영사를 했다. 이 학생은 그로부..

일본의 대만 통치

일본의 대만 통치 1895년 4월 17일, 청나라가 청일전쟁에서 패하면서 체결된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타이완 섬과 펑후 제도는 일제에 할양되었다. 일제는 타이완에 총독부를 설치하고 50년간 타이완 주민들을 식민지배했다. 일제는 식민지배 초기 타이완에 대하여 일본 본토와는 다른 식민지법을 적용하다가 1922년부터는 식민지에 대해서도 일본과 같은 법제도를 적용하면서 동화정책을 폈다. 이러한 동화정책은 법제도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식민지의 "일본화"를 꾀하는 정책이었다. 1936년 2·26 사건 이후 일제는 총력전 체제화[5]를 진행하였고 타이완 총독부 역시 이른바 황민화 정책에 따른 동화정책을 강화하여 타이완 내에서 중국어 신문을 금지하고 타이완사람들에 대하여 일본어 사용과 창씨 개명을 강요했다. 또 일제..

朴烈事件

朴烈事件 私は犬コロでございます 空を見てほえる 月を見てほえる しがない私は犬コロでございます 位の高い両班の股から 熱いものがこぼれ落ちて私の体を濡らせば 私は彼の足に 勢いよく熱い小便を垂れる 私は犬コロでございます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하늘을 보고 짖는 달을 보고 짖는 보잘 것 없는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높은 양반의 가랑이에서 뜨거운 것이 쏟아져 내가 목욕을 할 때 나도 그의 다리에다 뜨거운 줄기를 뿜어대는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朴烈事件 ぼくれつじけん 朴烈夫妻の天皇・皇太子暗殺計画事件および司法当局の両名に対する処遇が政治問題化した事件。在日朝鮮人で無政府主義者の中心人物たる朴烈(1902―74)は、その妻金子文子(かねこふみこ)とともに、関東大震災直後、朝鮮人迫害事件のさなかに検束された。多数の朝鮮人を虐殺した官憲は、その言い訳のために、朴烈夫妻に対し..

찰스왕에게 사형을 선고한 판사 12명이 11년 뒤 사형되었다, 크롬웰은 부관참시!

찰스왕에게 사형을 선고한 판사 12명이 11년 뒤 사형되었다, 크롬웰은 부관참시! 복위한 찰스 2세는, 아버지가 처형된 날인 1월30일에 크롬웰의 머리를 잘라내 창에 꽂아 웨스트민스터 홀의 바깥에 세워 두게 하였다. 크롬웰의 머리는 그 뒤 24년간 걸려 있었다. 1685년 이후 크롬웰 머리는 여러 사람 손을 거치고 경매에 붙여지기도 하였다. 趙甲濟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스크랩하기기사목록이메일보내기프린트하기글자 작게글자 크게 블랙리스트(blacklist)*라는 말의 語源은 1660년 영국으로 거슬러 오른다. 찰스 1세가 크롬웰 세력에 의하여 처형된 후 공화정이 시작되었다가 크롬웰 사망 후 王政복귀가 이뤄져 아들이 찰스 2세로 복위한다. 그는 아버지를 사형시키는 데 관여하였던 판사 및 관리 58명의 블랙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