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679

장한가(長恨歌)

장한가(長恨歌) 현종(玄宗)과 양귀비(楊貴妃)의 사랑, 안녹산(安祿山)의 난으로 양귀비는 죽었으나,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붓끝에서 사랑은 영원히 살아난다. 漢皇重色思傾國(한황중색사경국) :한(漢)나라 황제 경국의 미인을 사모하였건만. 御宇多年求不得(어우다년구부득) :천하를 다스린지 여러해 되었어도 얻지 못했네 楊家有女初長成(양가유녀초장성) :양(楊)씨댁 딸 있어 이제 다 자랐건만 養在深閨人未識(양재심규인미식) : 규중 깊이 숨어 있으니 아는 사람 없었다 天成麗質難自棄(천성려질난자기) :하늘이 내린 타고난 미모는 그대로 묻힐 리 없어 一朝選在君王側(일조선재군왕측) :하루 아침에 뽑혀서 천자님 곁에 모셔졌다 回頭一笑百媚生(회모일소백미생) :머리를 돌려 한번 웃으면 온갖 교태 나타나니 六宮粉黛無顔色(육궁분대..

창덕궁낙선재(昌德宮樂善齋) 기행

창덕궁낙선재(昌德宮樂善齋) 기행 세 여인의 애환이 녹아 있는 그 곳 낙선재 조경렬 기자 | herald@heraldjournal.co.kr 승인 2016.05.16 00:40:18 naksunjae.docx 창덕궁낙선재(昌德宮樂善齋) 기행 창덕궁 낙선재로 가는 중문 숙장문(사진=헤럴드저널) 창덕궁은 우리나라 궁궐 중에서 옛 모습이 가장 잘 보존된 궁궐로 관람객도 제한적으로 입장시키는 궁궐이다. 숙장문을 지나 오르다 보면 후원 입구 오른쪽에 조선의 전통 양반가옥이 나타난다. 이곳이 낙선재이다. 구중심처 궁궐에서도 찬란한 영광을 누리는 왕가 사람이 있는가 하면 역사의 질곡 속에서 소용돌이에 휩쓸려 한 많은 삶을 살다 간 국모였던 여인들도 있다. 국기가 기울어 나라 잃은 슬픔 속에 일제의 강압으로 궁궐을 떠나..

중국의 역사분쟁-서남공정 (티베트 독립운동)

중국의 역사분쟁-서남공정 (티베트 독립운동) 150년 전 영국에살았던밀은 '자유론(On Liberty)'이라는 책에서 언론자유가 있는 것이 없는 것보다 낫다는 것을 증명했다. "전체 인류 가운데 단 한 사람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 사람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그 의견이 틀렸다고 해서 침묵을 강요하면, 틀린 의견과 옳은 의견을 비교해 볼 기회를 잃게 된다." 스튜어트 밀이 '자유론'에서 중국에대해이야기해놓은것을읽어보면참으로흥미있다. 중국은 티베트에 그 행위가 옳고 그름을 떠나 지속적으로 침묵을 강요하고 있다. 이로인해 우리는 틀린의견과 옳은 의견을 비교해 볼 기회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중국내 조선족의 합리적인 귀속을 위해 만든 고구려의 역사왜곡의 중심인..

20세기에 발발한 전쟁과 잔혹행위에 의한 사망자 통계

20세기에 발발한 전쟁과 잔혹행위에 의한 사망자 통계 Death Tolls for the Major Wars and Atroci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Alphabetical Index Site Index 20th Century death tolls larger than one million but fewer than 5 million people. (사망자 100만명 이상 500만명 이하의 전쟁과 내전 통계) Afghanistan (1979) Bangladesh (1971) Biafra (1967) Burundi/Rwanda Cambodia (1975) Chinese Civil War (1927) Chinese Civil War (1945) Congo War (1998) E..

1950년 7월5일 179명 전사

1950년 7월5일 179명 전사 U.S. Soldiers Casualties on 07/05/1950Found 179 Names : page 1 of 18  미국국립문서기록청(NARA) 국방성(DOD) 한국전희생자단체 등에 등록된...1950년 7월5일 전사자 179명 명단 미군(스미스 특수임무 부대)은 오산 죽미령에서 벌어진  첫 전투 첫 날(7월5일)에 179명이 희생됨. ► Korean War Casualties by Day - These are Korean War era United States service member casualties that occurred on 07/05/1950. - Click on the NAME to view all details. You can also find..

이 한 장의 사진2*1950년7월5일

오산전투에서 적 전차를 향해 2.36인치 바주카포를 조준하고 있는 사수 '로버트 위치그'일병. 우측은 한국전 최초의 미국 전사자로 알려진 '케네스 새드릭'일병. '로버트 위치그'일병은 교전중 중상을 입고 극동사령부로 후송되어 1950년 8월6일 사망함 . *한국전 전사자 명부 신상카드; Robert L Witzig 일병/일리노이주 피오리아 출신 군번RA16283003/ 미육군 24사단 34연대 소속 경화기보병. 종결처리-1951년 1월4일 Korean War Casualty File Summary - Private First Class Robert L Witzig from Illinois. Service number RA16283003. Witzig was enlisted as Private First ..

이 한 장의 사진1*1950년7월5일

이 한 장의 사진1*1950년7월5일 [1950년 7월 5일 16시 25분경 오산] 바주카포 부사수 케네스 새드릭(Kenneth Shadrick) 일병이 적의 사격을 받고 사망했다. 새드릭 일병은 한국전쟁 발발후 미군과 인민군간에 벌어진 첫 전투에서 첫 번째로 전사한 병사로 보고되었다.켄터키주의 한 작은 마을(Harlan county)에서 석탄광부의 10남매중 셋째로 태어나 가족과 함께 웨스트버지니아의 와이오밍county에 있는 작은 마을 Skin Folk로 이주하여 성장..Pineville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군에 입대하여 2차대전 종전후 점령군으로 일본에 주둔하던 미 육군 24사단에 배속되어 큐슈 지역에서 근무중, 21연대 1대대(스미스 특수임무부대)406명이 6월30일 부산에 제일 먼저 도착하고 새..

문화재 된 ‘간호교과서’… 한글 연구에 도움

문화재 된 ‘간호교과서’… 한글 연구에 도움 김예슬 기자 | yes@newscj.com 2016.04.08 11:53:19 ‘간호교과서’ 상권 표제지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김예슬 기자] 우리나라 초기 간호교육을 살펴볼 수 있는 ‘간호교과서’가 문화재로 등록됐다. 문화재청은 마가렛 제인 에드먼즈(1871~1945)가 1908년, 1910년에 각각 발행한 간호교과서 상권과 하권을 6일 등록문화재 제658호로 등록했다. 에드먼즈는 미국 북감리회 여자해외선교부의 간호선교사로 1903년 3월 서울에 왔다. 그해 12월엔 보구여관(保救女館)에 간호원양성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간호원장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당시 간호원양성학교에는 제대로 된 교재가 없었던 터. 이에 에드먼즈는 간호교과서를 제작했다. 이 간호교과..

[역사 속 오늘]수많은 제주도민들 희생된 '4·3사건'

[역사 속 오늘]수많은 제주도민들 희생된 '4·3사건' 2 69년 전 오늘…좌·우익 충돌에 무고한 민간인 희생되다 [역사 속 오늘]수많은 제주도민들 희생된 '4·3사건' 머니투데이 이슈팀 김종효 기자 |입력 : 2016.04.03 05:45 광복 직후 제주도에는 해외에 나가있던 동포들이 일제히 몰려왔다. 생필품은 부족했고 전염병의 발병으로 수백명의 인명피해가 있었다. 민생이 피폐한 상황에서 일부 관리와 경찰은 사리사욕을 채우는 부정을 일삼았다. 한 사건이 제주도민의 경찰에 대한 반감에 불을 붙였다. 1947년 3월1일, 3·1절을 맞아 제주도 내 좌파진영은 곳곳에서 기념집회를 주최했다. 광장에서 구경하던 아이가 경찰이 탄 말에 차여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군중들은 돌멩이를 던지며 항의했고 경찰은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