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679

[여성으로 본 중국사]송경령과 그 자매 송애령, 송미령

[여성으로 본 중국사]송경령과 그 자매 송애령, 송미령 송경령과 그 자매 송애령, 송미령 중국사 다이제스트 100 宋氏三姐妹 ‘송씨 집안의 세 자매’의 생애는 극히 파란만장한 인간드라마일 뿐만 아니라, 중국혁명과 20세기의 역사에 남을 귀중한 증언을 함축하고 있다. 송애령(宋靄齡:공상희 부인), 송경령(손문 부인), 송미령(장개석 부인)의 아버지인 송가수(宋嘉樹)는, 해남도(海南島)의 가난한 상인의 집에서 태어나 어릴 때 보스톤에서 상업을 하는 외삼촌의 양자가 되어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러나 장사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그곳을 도망쳐 나와 전전하다가 학교에 들어가 신학을 공부했다. 1886년 귀국하여『만국공보(萬國公報)』의 발행인으로 유명한 영 알렌 밑에서 기독교 전도사로 일했지만 알렌의 권위적인 태도에..

수원/화성의 3.1 만세 운동

수원/화성의 3.1 만세 운동 수원 • 화성의 3. 1 만세운동 1. 수원의 만세운동 이곳 수원에서도 어김없이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다. 3월 1일 북문안 용두각에 수백명의 주민이 모여 갑자기「조선독립 만세」를 부르기 시작했다. 이 만세소리를 듣고 각처에서 모여든 군중이 수천명이 되었다. 3월 16일 장날을 이용하여 남쪽으로부터 만세소리가 들리더니 잠시동안에 천여명의 군중들이 호응하여 팔달산 서장대와 동문안 연무대에 수 백명식 모여 만세를 부르며 시가지 종로를 통과하면서 대혼란을 이루자 경찰은 소방대 및 헌병과 합동하여 이를 제지, 주모자를 김거하였다. 이에 주민들이 일제히 철시를 단행, 이에 항의하자 경찰은 검거하였던 사람들을 석방했다. 이 날은 마침 장날이었는데 오후 11시경 복수리에 있는 천도교에서는..

麗順事件에 관한 자료의 성격과 연구 현황

麗順事件에 관한 자료의 성격과 연구 현황 麗順事件에 관한 자료의 성격과 연구 현황 1. 머리말 2. 여순사건에 대한 자료의 특징과 연구시각 3. 여순사건의 배경과 원인 4. 여순사건의 전개과정과 성격 5. 맺는말 1. 머 리 말 해방직후 좌우의 갈등과 대립은 여러 차례의 유혈충돌을 촉발하였다. 한반도에 정부가 수립되기 직전인 1948년 4월에는 제주도에서 이른바 4 · 3사건이 일어났고, 정부수립 직후인 10월에는 전라남도 여수에 주둔하던 국방경비대 제14연대의 좌익계 장병들이 지역민 일부의 지지를 받아 봉기하였다. 이른바 ‘여순사건’* 이 논문은 1996년도 순천대학교 공모과제 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여순사건’에 대한 명칭은 매우 다양하다. 그 점에 대해서는 본문에서 상세하게 ..

여순10.19사건과 수정주의 해석의 재검토

1948년 10월 19일 중위 김지회, 상사 지창수를 비롯한 일련의 남로당 계열 장교들과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에 반대한 군부대가 주동하여 2,000여 명의 군인이 전라남도 여수에서 봉기함으로 인해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좌·우익 세력으로부터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많은 민간인이 희생 당한 사건이다. 이승만 정부 수립 2개월만에 겪은 이 사건을 계기로 이승만은 철권 통치와 반공주의 노선을 강화하였다. 반란군에 의해 경찰 74명, 우익 인사 16명을 포함해 약 150여 명의 민간인이 학살됐고, 정부 진압 군경이 사건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최소 439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다.[1] '여수 14연대 반란사건', '여수·순천 주둔군 반란 사건', '여순반란사건', '여순봉기', '여순군란' 등으로 불리었으나 ..

병신년의 역사

병신년의 역사 [스크랩] 역사속의 丙申年 을미년 한 해가 저물어 가고 병신년 한 해가 각일각 닥아 오고 있다. 묵은 한 해가 저물고 새해로 바뀌는 건 해마다 되풀이 되지만 干支(간지)에 의한 해는 一周甲(일주갑), 그러니까 60년마다 바뀌는 게 하늘의 섭리이다. 내년 병신년은 붉은 원숭이 해라고 한다. 丙申年(병신년)의 丙(병)은 세 번째 天干(천간)으로, 방위로는 南南南東(남남남동)이라 남에 해당하고, 五行(오행)으로는 火(화)에, 색깔로는 붉은색에 해당한다. 병신년의 申(신)은 아홉 번째의 地支(지지)로, 띠와 때를 나타내는데 띠는 원숭이에, 때는 申時(신시 : 오후 3시에서 5시 사이)에 해당한다. 그래서 병신년을 붉은 원숭이 해라고 하는 것이다. 원숭이는 다재다능하고 임기응변을 잘하지만 인내심과 ..

순직 해군·해경 159위 제42주년 합동위령제

순직 해군·해경 159위 제42주년 합동위령제 【통영=뉴시스】신정철 기자 = 순직 해군·해경 장병 159위를 추념하는 제42주년 합동위령제가 22일 오전 11시 경남 통영시 정량동 이순신공원내 해상순직장병 위령탑에서 개최됐다. 이날 합동위령제는 해군의장대 조총 발사와 진혼곡연주, 분향, 헌화, 추념사 순으로 진행됐다. 박재수 통영해양경비안전서장이 헌화하고 있다.2016.02.22.(사진=통영해경 제공) photo@newsis.com 2016-02-22 【통영=뉴시스】신정철 기자 = 순직 해군·해경 장병 159위를 추념하는 제42주년 합동위령제가 22일 경남 통영시 정량동 이순신공원내 해상순직장병 위령탑에서 개최됐다. 통영해군전우회 주관으로 개최된 이날 합동위령제에는 유족과 해군 159기 동기회, 해양경찰..

레드툼_ Red Tomb

레드툼_ Red Tomb bhttps://drive.google.com/file/d/1b0HB-h_rUlRmEg7OOHlXCuARNZe9Uhqp/view?usp=drive_link[다큐영화] 레드 툼(Red Tomb. 부제 빨갱이 무덤) - 국민보도연맹사건 게시판2015.12.17. 13:32 레드툼_ Red Tomb동영상 레드툼_ Red Tomb레드 툼은 1950년 한국전쟁 초기 이승만 정권에 의해 예비검속에 이어 집단학살 당한 국민보도연맹 민간인 학살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다. 이들 대다수는 이승만 정권이 좌익세력을 회유하고 관리하기 위해 만든 반공단체인 ‘국민보도연맹’에 영문도 모른 채 가입했고, 한국전쟁이 일어나면서 전투와는 상관없는 지역에서 집단 학살됐다.이승만 정권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전..

한국 근대간호 역사여행⑩ 세브란스병원 간호원양성학교 제1회 졸업생 김배세

한국 근대간호 역사여행⑩ 세브란스병원 간호원양성학교 제1회 졸업생 김배세 교사 경력 갖추고 영어에 능해 두각 나타내 [2013-01-29 오전 11:19:06] ◇ 미국 간호학회지 논문과 영어교재 한글로 번역 ◇ 보구여관 학생들과 연합 강의·실습 통해 교류 김배세(金背世, 1886∼1944)는 1906년 9월 쉴즈(Esther Shields) 간호원이 설립한 세브란스병원 간호원양성학교(Severance Hospital Nurses' Training School)에 1907년 1월에 첫 학생으로 입학하여, 1908년 예모식을 거쳐, 1910년 6월 10일에 제1회로 졸업하고, 세브란스병원 최초의 한국인 졸업간호원이 되었다. 그녀는 서울 정동의 가난한 선비인 아버지 김흥택과 어머니 연안 이 씨의 다섯째 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