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82

별난 병역이행 가족 신청서

별난 병역이행 가족 신청서 R별난 병역이행 가족 신청서신청자 인적사항성명 이xx주소 경기도 오산시 양산로일반전화 (031)휴대전화 (010E-mail[별난 병역이행 내용]신청인 본인 이xx는 1970년에 해병대에 자원입대하여 13개월간 월남전에 참전(유공자 등록번호 21-1305571)후 연평도에서 잔여기간을 복무하고 전역하였습니다. 본인의 장남 이상윤(해병대1사단 복무)과 차남 이현승(해병대사령부 복무)도 대를 이어 해병대를 명예롭게 전역하였습니다.특히 장남 이상윤과 조카 백성민(해병대2사단 복무)은 동갑으로서 미국 유학중(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의기투합, 함께 귀국하여 해병대에 지원하고 같은 날 입대하여 통역병 교육도 함께 수료하였으며 키리졸브와 같은 한미합동훈련에 차출되어 임무를 수행하다가 만기 전..

베트남 파병으로 韓國이 벌어들인 '50억 달러'

베트남 파병으로 韓國이 벌어들인 '50억 달러' 베트남 派兵으로 美國은 사상처음으로 한국 정부를 외교의 동반자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원조 등으로 끌려 다니던 弱小國 한국이 베트남 파병을 통해 미국 정부가 오히려 한국의 눈치를 보게 만든 외교상의 쾌거였다. 日本人들은 韓日회담을 통해 日本이 韓國에 제공한 對日청구자금 8억달러(경제협력자금 포함)가 한국 경제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믿는다. 물론 일본의 원조가 한국 경제 발전에 큰 역할을 했지만 지금의 한국경제를 만든 기초는 누가 뭐래도 朴正熙 대통령의 베트남 派兵이었다. 베트남 派兵은 朴대통령이 정치와 경제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美國이생각하기도 전에 먼저 제안을 한 것이었다. 이는 관계자 증언을 통해서도 나왔지만 베트남전 관련 외교 문서..

주월 해병 제2여단 청룡부대 參戰略史

주월 해병 제2여단 청룡부대 參戰略史 파병과 주요작전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귀신잡는 해병대', '신화를 남긴 해병대'등 해병대와 관련된 표어(slogan) 한 두마디를 모르는 성인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해병대의 특성과 기질, 나아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있는 우리나라의 안보상황을 잘 표현하고 있는 상징도 많지 않다. 대부분의 표어들이 6·25전쟁 등 위기상황에서 치열한 전투를 겪으면서 만ㄴ들어졌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신화를 남긴 해병대'라는 표어는 좀 더 특별한 사연을 지니고 있다. 바로 44년전 오늘 즉, 1967년 2월 15일 아침 베트남의 짜빈동에서 한국해병대 제2여단 제11중대의 전투현장을 둘러 본 외신기자들이 붙여준 애칭이기 때문이다. 해병대의 주둔지역 1965년 10월 9일..

ANGLICO**미 해병대 항공함포 연락중대

ANGLICO**미 해병대 항공함포 연락중대 special operations forces » usmc special operations » Air Naval Gunfire Liaison Company ANGLICO | Air Naval Gunfire Liaison Company**항공함포 연락중대 Air Naval Gunfire Liaison Company (ANGLICO) are an elite United States Marines Corps (USMC) unit tasked with calling in air strikes and artillery fires in support of their attached formation. ANGLICO - Role The 'Liaison' part of t..

개병대

개병대 原文 대한민국 해병대 및 그 구성원들을 비하하는 별명. 어원은 한국어에서 특정 대상을 멸시,비하할 때 자주 붙이는 접두어 "개(犬, dog)"와 "해병대"의 합성어. 이 별명의 어원에 대해서, 한국전쟁 도중 해병대가 공을 세운데 흡족해 한 당시 이승만 전 대통령이 해병대가 문을 연다고 해서 열 개(開)자를 붙여서 개병대라고 지어준 데에서 유래했다는, 즉 원래 좋은 뜻의 별명이었다는 황당한 카더라가 요즘 해병들 사이에서 퍼져 있다. 그리고 열 개자가 아니라 '승전가 개'(凱)자라는 버전의 카더라도 있다. 실화가 아닌 허구 소설들이다 보니 이처럼 카더라 버전도 여러가지가 있다. 물론 이런 썰들은 해병대 특유의 아무 근거 없는 카더라에 불과한 얘기들로서 전혀 사실이 아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이 친필 휘..

한국 해병대 7대 전투

한국 해병대 7대 전투 1. 도솔산 지구 전투(’51. 6. 2∼6. 20) 국군과 유엔군이 1951년 5월 춘계 공세를 격퇴한 직후‚ 한국 해병대 제1연대가 양구군 해안면의 해안분지 남서쪽에 있는 전략 요충지 도솔산(▲1‚148)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단계 작전(1951. 6. 4 ∼ 6. 12)시 공격 목표 ∼1’에서 목표 ‘16’까지 점령한 뒤 캔사스선으로 진출하였고‚ 제2단계 작전(1951. 6. 13 ∼ 6. 24)시 공격 목표 ‘17’에서 목표 ‘24’까지 점령하고 버지선까지 진출하여‚ 도솔산과 대우산으로 연결되는 거대한 산악지역에 배치된 북괴군 제5군단 제12사단과 제32사단의 정예부대를 치열한 공방전과 무수한 희생 끝에 격퇴하고 도솔산을 탈환함으로써 ‘무적 해병’의 신화를 창조한 전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