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korailhs

조선의 철도와 철도국 발자취

marineset 2025. 4. 27. 09:18

https://blog.naver.com/quixcha/222871574386

조선총독부 철도국 1910

 

 차경환  2022. 9. 10. 22:35

조선총독부 철도국(朝鮮總督府 鐵道局)은 일본제국 통치하의 일본영토인 조선 지방에 설립된 조선총독부 소속의 관청입니다. 국영 철도의 관리와 운영, 사설 철도, 육상 운송 업무와 철도 노선을 이용한 관광과 더불어 철도호텔, 철도도서관, 철도박물관을 운영 관장하였습니다.

약칭해서 센테츠(鮮鐵, 선철) 이라고도 불렀습니다.

◆ 조선의 철도와 철도국 발자취

철도개통 Banzai! first train crosses new Japanese bridge

1899년 09월 18일
경인선, 노량진~인천 간 개통
1902년 10월 01일
경부선, 영등포~명학동 개통
1903년 11월 01일
경부철도주식회사가 경인철도를 매수
1904년 02월 21일
일본 육군에 임시군용철도감부 설치
1905년 04월 28일
군용철도, 용산~신의주 간 개통
1906년 07월 01일
한국통감부에 철도관리국 설치. 경부철도를 매수
1906년 09월 01일
군용철도를 철도관리국으로 이관
1909년 06월 18일
철도관리국을 폐지하고, 철도청을 설치
1909년 12월 16일
통감부 관할 철도를 일본의 내각철도원으로 이관하고 한국철도관리국을 설치
1910년 10월 01일
한일합방으로 조선총독부에 철도국을 설치. 일본 철도원으로부터 한국철도관리국 관내노선 이관
1911년 11월 01일
압록강 횡단철교 완성으로 남만주 철도와 연결
1914년 10월 10일
철도국 직영 조선호텔 영업 개시
1917년 07월 31일
일본 국유 철도인 조선총독부 철도가 남만주 철도주식회사(만철)에 위탁 경영
조선 철도국 관제가 폐지되어 조선총독부 총독관방(직속)에 철도국이 설치.
1919년 08월 20일
조선총독부 관제 개정(칙령 제386호)에 의해 철도국을 철도부로 개칭하고 장을 부장으로 함
1925년 03월 31일
만철의 조선총독부 철도의 위탁 운영이 해제되어 총독부 직영으로 복귀.
1925년 04월 01일
조선총독부 철도국 관제(칙령 제84호)가 시행
조선총독부의 외국(外局)으로서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신설되었으며 총독직속의 철도부는 폐지.
1933년 10월 01일
청진 이북의 노선을 만주철도에 위탁. 만주철도에 북선(北鮮) 철도 관리국을 설치
1943년 12월 03일
조선총독부의 관제 개정에 의해 철도국이 폐지. 교통국이 설치되어 이관됨

남만주철도주식회사(만철) 다롄 본사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포츠머스회담을 통해 ‘남만주철도’ 경영권을 러시아로부터 넘겨 받습니다.

남만주철도 운영과 만주 경영을 위해 일본이 설립한 회사로 줄여서 '만철’이라고 합니다. 만철은 중국 다롄에 본사를 두었습니다

대한제국 시절 경부선, 경인선, 경의선 등 철도 부설권을 획득한 일본은 1906년 경인철도합자회사, 경부철도주식회사, 삼마철도, 경의철도 등 4개 철도회사를 국영화 후 통합해 한국통감부 산하에 철도관리국에 두었습니다. 1909년 12월 일본제국 철도원으로 조직이 이관됐다가 1910년 8월 한일합방 이후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며 개편하여 '철도국'이 되었습니다.

1914년 경성 소공동 환구단 자리에 '조선호텔'을 설립한 후 여객과 숙박업에도 진출하였고, 1917년에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에 운영을 맡깁니다. 1919년 직제개정으로 '철도부'가 되었다가 1925년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위탁경영이 해제되고 조선총독부의 직영으로 환원되면서 '철도국'이 되었고, 1933년 청진 이북의 노선을 만철에게 맡기고 1943년 직제개정으로 '교통국'이 됐으나 1945년 8.15 해방이후 미 군정 수립으로 교통국은 해체되어 모든 업무가 미군정청 교통국으로 이관되었습니다.

조선총독부 철도국 로고가 새겨진 기념품 '화로'

◆ 역대 철도운영기관

남만주철도주식회사 로고가 새겨진 기념품 '주전자'

◆ 역대 국장

성명
재임기간
비고
오야 곤페이
1909년 6월 19일 ~ 1909년 12월 16일
통감부철도청장관
오야 곤페이
1909년 12월 16일 ~
한국철도관리국장
오야 곤페이
1910년 10월 1일 ~ 1917년 7월 31일
조선총독부철도국장관
히토미 지로
1917년 7월 31일 ~ 1919년 5월 17일
총독직속철도국장
아오키 카이조
1919년 5월 17일 ~ 1919년 8월 20일
와다 이치로
1919년 8월 20일 ~ 1921년 2월 12일
총독관방철도부장
유게 코타로
1921년 2월 12일 ~ 1925년 3월 31일
시모오카 주지
1925년 3월 31일 ~ 1925년 5월 26일
철도국장
오무라 다쿠이치
1925년 5월 26일 ~ 1932년 9월 20일
요시다 히로시
1932년 10월 4일 ~ 1938년 5월 4일
쿠도 요시오
1938년 5월 4일 ~ 1939년 7월 24일
야마다 신주로
1939년 7월 24일 ~ 1943년 12월 1일
고바야시 토시카즈
1943년 12월 1일 ~
교통국장

◆ 철도국조직

1925~1940년 까지의 철도국 조직도

1940년 조직도는 조직 존속기간이 너무 짧아 생략합니다

1941~1945년까지 철도국 조직도

※ 함흥철도국은 따로 공작부와 전기부를 두지않고 운전부와 공무부에 공작과와 전기과를 두었습니다

◆ 조선총독부 철도국 청사 (경기도 경성부 용산구(現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동 소재)

조선총독부 철도국 청사의 모습으로 용산역 앞에 있었습니다.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노량진~인천 간 노선이 최초로 영업을 개시한 이후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 1906년 4월 3일 경의선이 개통되었습니다. 1910년 10월 1일 한일합박과 함께 철도국이 설치되어 철도 관리와 운영, 육상 운송 업무 등을 담당하였습니다. 1914년 9월 6일 경원선이 개통되면서 철도 골격이 X자형으로 형성되면서, 정치적ㆍ경제적ㆍ군사적 목적 수행을 위한 교통로가 완성되었습니다. 철도는 여객과 물류 운송의 시간을 단축화시킴으로써 조선인의 삶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한편 경원선의 험준한 지형의 추가령구조곡 구간은 일제시대 수학여행 등 관광코스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1943년 관제개정으로 철도국은 교통국으로 개편됩니다.

◆ 경성 용산시가 전경(京城 龍山市街 全景)

삼각지(三角地)에 인접한 남쪽 언덕 위에서 용산 일대의 시가지 전경을 파노라마 형태로 담은 4매 연속 사진엽서 중 하나로 일본군 병영지가 막 조성되던 초창기 무렵의 풍경입니다. 중앙에서 약간 오른쪽으로 지붕이 이중으로 솟아있는 건물은 용산정거장(龍山停車場) 역사이고, 오른쪽 끝 한강을 배경으로 여러 채의 지붕이 있는 곳은 용산철도공장(龍山鐵道工場)입니다. 왼쪽 끝에 여러 채의 밝은 색 지붕들이 모여 있는 곳은 철도국관사(鐵道局官舍) 구역이며, 그 오른쪽의 검은색 돔 지붕이 있는 건물은 용산우편국(龍山郵便局)이다.

철도국 관사 파노라마사진 바둑판 처럼 주택들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 용산철도공장

◆ 용산의 철도학교와 철도도서관

◆ 철도국의 호텔 및 관광사업

경성의 조선호텔

조선철도 12년 계획도(1927년8월현재) 鮮交会 조선교통사 1986년 부록

조선철도약도 1934

관광홍보자료

반도의 근영

조선 1925

조선의 풍광 1922년

조선풍광 1927년

1939년 조선의 풍경과 조선인들의 모습. - 조선총독부철도국 홍보영상

https://youtu.be/ftfXdZ9sFcQ

 

◆ 철도국에서 운행한 특급열차 (히카리, 노조미, 아카츠키)

◆ 관부연락선과 조선철도의 연계

◆ 철도노선과 연계된 조선의 산업시설

이렇게 조선의 산업시설 70%는 북한에 존재 했습니다. 바로. 이것이 1970년 중반까지 북한이 남한의 경제력을 앞섰던 이유입니다.

◆ 조선총독부 철도국 안전 캠페인

건널목에서는 멈추고, 보고, 듣고 열차 통과를 기다리세요·선로통행자를 위해 열차를 정차

조선총독부 철도국발행 캠페인 역살상 1년에 255마리

◆ 철도정거장 사진모음

◆ 일제시대 철도 신호등과 순찰등

순찰등

신호등

반 원통 철에 밝은 청색을 도색한 것으로, 내부에는 녹, 적색의 조명을 조절하는 구조물이 있다. 상부에는 와이어를 연결하여 원거리에서도 좌,우를 조절해 녹, 적색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신호체계를 변환하는 방식이다. 조명은 양초나 호롱불이 첨가되어야 하는 구조

◆ 철도직원 복지를 위한 철도국우회

◆ 철도승차권

조선총독부철도국 철도승차권 보통급행권

조선총독부철도국 철도승차권 연락 급행권(선만)

조선총독부철도국 철도승차권 조선총독부 교통국에서 발행 1944년12월 1일로 기한은 1945년11월 30일까지 전 구간 1등석으로 탈 수 있는 승차권 소유자는 부산일보사장

조선총독부철도국 철도승차권 철도승차증 1937

◆ 기타

일제시대 기차와 선로

경의선 철도 공사 마포대교와 원효대교 사이의 옹벽지점에서 찍은 사진

부산철도병원 직원

여수(麗水)-시모노세키(下關) 간 항로, 여수(麗水)-광주(光州) 간 철도 개통 안내

철도교통도 포스터 사또상회 부산지점에서 발행 1938년

◆ 최신대일본철도지도 1936년

1936뇬 철도지도에도 역시 일본과 조선 대만등은 모두 한나라로 표기 제작 됩니다

* 조선총독부의 많은 부서 가운데 철도국 한개만 대충 간략히 소개 하는데도 이렇게나 분량이 많습니다. 앞으로 체신국 학무국 식산국 전매국등 많은 부서들이 있는데 갈길이 참으로 멉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