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Rok marines

76년 전 해병대는?

marineset 2025. 9. 14. 20:17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4월 15일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덕산동 진해비행장(덕산비행장)에서 380명(장교 26명, 부사관 54명, 병 300명)의 병력으로 창설되었습니다.

 

무적해병신문

각 분야에서 활동중인 해병대전우들의 소식과 정보, 뉴스 등 기사 제공

www.rokmcnews.kr

 

 

 

-----------------------------------
국군조직법에도 없는‘해병대’를 창설하다
-------------------------------
해병대창설 이전의 국군조직법은 ‘해병대’ 단어조차 전무했었다. 때문에 해병대 창설은 처음부터 난관에 봉착되었다. 당시 손원일 총참모장은 남경(南京) 중앙대 항해과 졸업후 독일, 구라파를 다니면서 항해술을 경험하다가 상해에서 귀국했던 덕장으로 광복된 조국의 믿음직한 해군을 바탕으로 한 튼튼한 국방력을 위해 미국의 해병대와 같은 부대를 창설하는 것이 이승만 대통령의 의중임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시대적 혼란과 시련기였던 당시의 여건하에선 지극히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한편 해군 내의 인적자원은 상당수의 육전대(일본해군) 출신자들과 육전 경험만 있는 만주군 출신 장병들과 군대 경력이 전혀 없는 대다수가 있었다.
따라서 어떻게 해야 이들을 유효적절하게 써먹을 수 있을 것인가? 하고 내심 궁리를 하고 있던 손원일 제독은, 마침 여·순 반란사건을 계기로 해병대의 필요성이 절실해지자 이러한 인재들을 써먹을 데가 ”바로 여기로구나!“ 하는 든든한 생각이 들면서 해병대 창설을 구상했다.
그러기 위해선 해군은 해병대 창설안을 3군 참모총장을 경유, 국방부장관 승인을 득한 후 국회의 법적 절차를 밟아야만 했다.


----------------------------------------------------------------------------
신현준 초대사령관, 김성은 초대참모장 三顧草廬(삼고초려)로 모셔오다
-------------------------------------------------------------------------
해군에선 상륙전을 주 임무로 하는 ‘전투부대 창설안’과 ‘해군기지 경비부대 발족안’을 동시에 제출했는데 이를 본 채병덕 참모총장은 육군과 같은 성격의 해군 전투 부대는 창설할 필요가 없다면서 해본의 두 번째 안인 ‘해군기지 경비부대 발족안’ 에 서명이 이루어짐으로써 해병대 창설의 물꼬를 트게 되었다. 

이 발족안은 (해병대창설안과 거의 비슷한 내용으로 작성된 김성삼(金省三) 대령의 수정안)에 근거하여 1949년 2월 1일 해군총참모장은 마침내 육전 경험이 많은 신현준 대령(만군 대위 출신)을 초대 해병대사령관으로 임명하여 본격적인 해병대 창설 준비를 갖추게 되었다. 신현준(대령) 초대 해병대사령관은 통제부 교육부장인 김성은(金聖恩) 중령을 초대 참모장으로 발령하여 부대 편성과 막사 정비 및 훈련 준비 등을 서두르게 했다. 

신 사령관은 김 중령이 담대하고 화술과 전략에 비범한 인재란 것을 잘 알고 있었기에 해병대의 장래를 위해 세 차례나 김 중령의 자택을 방문해 승낙을 얻어냈다. 이는 삼국지의 삼고초려(三顧草廬)를 연상케 했고 결과는 두 분의 등장이 오늘의 세계적인 강군 해병대를 만들게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
“여보! 내가 언제 결재했기에‥”
------------------------------
‘해병대창설 기념식’ 초청장을 받아 본 채병덕 3군 참모총장(소장)은 “아니? 해병대가 창설되다니, 이게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이지?” 하며 경악을 금치 못하다가 해군본부에 직접 전화를 걸어 성난 목소리로 관계관을 출두하라고 명령, 달려온 참모부장 김성삼 대령을 본 채병덕 참모총장은 다짜고짜 “여보, 내가 언제 결재를 했기에 이런 도깨비 같은 초청장이 날아왔소?” 하며 소리쳤다. 

그러자 김대령이 제출한 결재서류에 분명히 자신의 서명이 돼 있었을 뿐 아니라 국방장관 서명까지 필해져 있었음을 보곤 어안이 벙벙해진 채 할 말을 잊었다. 그는 김 대령에게 신경질적인 말투로 “이런 중대한 사안을 브리핑 한번 하지 않고 잡동사니 서류 속에 집어넣어 결재를 받았단 말이요?” 하고 공격하듯 힐책했으나 결국은 제목도 안보고 서명한 자신의 과오에 대한 안타까운 자책일 뿐이었다.



----------------------------------------------------------------------------
사나운 야생마를 최고의 駿馬(준마)로 만들었고, 그 준마들이
자랑스러운 용마(龍馬)가 되어 불멸의 공훈을 세운 세계적 해병대로 ‥
--------------------------------------------------
신현준 준령을 초대 해병대사령관으로 발탁했던 것은 그가 육전 경험이 풍부하고 지휘관으로서의 인격적인 자질과 덕망을 갖춘데다 기질이 사나운 야생마들을 길들일 줄 아는 탁월한 통솔능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신현준 중령이 해안경비대 시절 통제부 준사관 교육대에서 이른바 6·27 사태란 것이 발생했다. 즉, 기질이 사나운 젊은 계층에서 처우 개선 문제 등을 내세워 “누가 감히 우리를 교육시킨단 말인가!” 따위의 협박적 분위기가 일어나자 간부들은 “몽둥이 찜질을 면치 못할 자리에 누가 가려고 하겠소” 하는 겁먹은 분위기였던 때에, 오직 신현준 중령만이 교육대장직을 맡겠노라고 자청하여 기질 사나운 야생마들을 더 말할 나위 없는 최고의 준마로 길러냈고 그 준마들이 해병대 창설 때 그의 휘하에 모여들어 날쌔고 자랑스러운 용마(龍馬)들이 되어 불멸의 공훈을 세웠고 오늘의 세계적 해병대로 전통을 세웠음은 결코 우연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
해병대 모병비화(募兵秘話) - 이놈들 다 가란 말이야!
------------------------------------------
신사령관은 김성은 참모장과 머리를 맞대고 간부진 구성에 신중한 의견을 교환한 끝에 사령부 행정 요원들과 해병들 교육 훈련과 신병 지휘를 맡게 될 장교·부사관 등 지휘관급 요원확충이 순조롭게 진척되었다.
1945년 8·15 해방 직후부터 서서히 태동되기 시작한 신생 대한민국 창군기에 해군입대자 거의가 일본군이나 만군 또는 팔로군 출신자들과 또는 일찍이 어린 나이에 만주 대륙으로 건너가 학창시절을 보내거나 사업에 종사하던 청년들이어서 그 인맥 덕분에 포섭공작이 순조로웠다.

당시 목포경비부대에는 약 50명의 장교와 부사관이 있었는데 이들 중 단 한 명의 병과 장교로서 총무, 작전, 경비 등의 주요 업무를 총괄하고 있던 김재주(金栽株) 대위 경우는 준사관 교육대장이었던 신 사령관의 인격과 덕망에 크게 감화된 바가 있었기에 해병대로 전과했는데 문제는 그것이 김 대위 혼자만의 일로 끝나지 않았다.

즉, 그는 해병대 전과 의사에 동조한 다른 105명의 부하(장교·부사관)들까지 데리고 목포 경비부를 떠난 것이다.
또한 해병대로 넘어 오려는 사람들의 명단을 일일이 살펴보던 신 사령관은 그저 흐뭇한 마음으로 “음, 그렇지, 모두가 그럴듯한 사람들이군” 하며 반가움을 금치 못했다.

그런데 이렇게 하여 모집된 전과 지망자들은 2~3차례에 걸쳐 발령이 났었는데 2월 21일 경 제1차로 발령 났던 안창관(安昌寬) 소위를 비롯한 30명의 육전 경험 장병들은 발령과 동시 덕산(德山) 비행장으로 파견되어 장차 해병대의 병사(兵舍) 및 창고로 쓰일 비행장 시설물의 경비와 보수작업에 임했다.

그리고 3월 28일에는 제2차로 발령된 40명의 전투 유경험자들이 덕산 비행장에 도착하였는데 그들 중에는 과거(2차 대전 때) 일본군 육전대로서 남양군도 및 동남아 지구 전선에서 전투 경험을 쌓은 15명의 고급 부사관이 포함돼 있었으며, 입대 후 해군의 주 병과학교인 항해 학교에 입교하여 고등반 과정을 이수하거나 교관진 요원으로 활약했던 그 15명의 고급 부사관들은 그 후 해병대 간부 후보생 제1기 및 2, 3기생으로 진출했다


-----------------------------------------------------------------
한가락씩 할 만한 자(者)들을 골라야 해!
-------------------------------------------------
장차 전투 부대의 초석들이 될 해병들은 해군 13기생들 500명 중에서 300명을 선발하여 해병 1기생으로 훈련시킬 방침이었다. 따라서 참모장 김성은 중령은 1차로 전임 발령이 난 30명의 장병들 가운데서 안창관(安昌寬), 김낙선(金烙線) 소위와 강복구(姜福求) 중사 등 3명을 선발요원으로 선정, 그 임무를 수행하기에 앞서 참모장은 “한가락씩 할 만한 똘똘하고 주먹 큰 놈들을 뽑아라”는 엄명을 내렸다. 그러지 않아도 그런 자들을 뽑을 작정이었다면서 안 소위는 눈에 광채가 나는 똘똘한 자를, 그리고 김 소위와 강 중사는 힘깨나 쓸 만한 믿음직하고 주먹이 큰 자들을 뽑겠다고 했다.

따라서 한국 해병대 모병 형태와 방식이 전혀 다른 것이지만 그 대상자를 선정할 때 한가락 할 만 한 똘똘한 자들을 뽑아 해병대 초석으로 했던 그 정신만은 일맥상통하다고 본다. .
당시 검은 썬그라스에 반짝반짝 광채 나는 반 장군화 차림을 한 일본 해군 육전대 출신 강복구 중사는 기합이 들어 빳빳하다 못해 당장 부러질 것 같았다. 그가 신병들의 면전에 나타나자 임시막사인 창고 안의 천여 명의 가입대자들은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뚫어지듯 그를 응시하고 있었다.

이윽고 “강복구의 기합이 빠지면 해병대 전체가 기합 빠진다”는 대명사의 주인공인 강복구 중사는 절도있고 야무진 목소리로 “해병대는 적진 상륙 감행시 100명 중 99명의 희생자가 날 수도 있다.”면서 국가와 민족을 위해 사나이답게 목숨을 바칠 각오가 단단히 서 있어야만 한다고 힘주어 강조했다. 이런 말은 누가 들어도 무시무시한 정신교육이었다.

가입대자 모두는 찬물을 끼얹은 듯 했고, 표정은 하나같이 굳어져 있었다. 잠시 후, 그들은 그 어떤 결심의 빛으로 귓속말로 옆 사람과 무슨 말을 하며 고개를 끄덕이기 시작했다. 이런 분위기를 간파한 강 중사는 내무실 옆 광장에 집합하라는 말하고 자리를 떴다.
-------------------------------------------------------------------
“하나, 어떤 훈련도 감내 할 수 있겠나?”
“하나, 조국과 민족을 위해 목숨 바칠 각오가 돼 있나?”
“하나, 용감히 싸우다가 죽어도 여한이 없겠나?”
-해병대 구술시험 질문내용-
-----------------------------------------------------------------------------
휴식시간이 되자 광장에는 약 칠백 여명의 인원이 몰려들었는데 그들은 하나같이 굳건한 결의에 찬 표정들이었다, 그야말로 고무적인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강 중사 일행은 기쁨을 억제하며 필요한 인원을 선발하기 위해 오와 열을 세웠다. 그리곤 똘똘하고 한가락 할 만한 자들로 330명을 뽑았다. 정원 외 30명을 더 뽑은 이유는 그들 중 사고자가 생길수도 있고 구술시험관이 행사할 최종 재량권을 남겨두기 위함이었다.

 안창관, 김낙천 소위에 의해 약 10일 후에 최종선발이 실시되었다. 두 명의 구술시험관은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하나, 어떤 훈련도 감내 할 수 있겠나?” “하나, 조국과 민족을 위해 목숨 바칠 각오가 돼 있나?” “하나, 용감히 싸우다가 죽어도 여한이 없겠나?”는 질문으로 지원자들의 결심과 답변 태도나 내용에 조금이라도 미흡한 자는 탈락을 시킴으로써 300명의 해병 1기생을 선발했다. 탈락자들 중에는 “내가 어디가 어때서 탈락 시켰냐면”서 강력하게 항의하는 자가 한두 명이 아니었다.

한편 2차 구술시험으로 선발이 확정된 1기생 요원들은 해병대 발상지 덕산(德山)으로 이동하여 약 10일간의 내무생활과 구보 등을 거쳐 정식 입대가 되었다.

이를 본 해군 가입대자들이 “저도 해병대로 데려가 주십시오” 통사정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
지자 해군 조교들은 해병대 조교들을 붙들고 “제발 더 이상은 안된다”고 단호하게 선언해 줄 것을 간청하기도 했다.

--------------------------------------------------------
해병 1기 300명 탄생하다
군번 9100-000(김학선)에서 9100-299(조운성)까지
--------------------------------------
이렇게 강인한 체력과 조국과 민족을 휘해 목숨을 던질 각오가 되어있는 300명의 최정예 해병대가 탄생되었다. 해군13기와
가입대자였던 해병대 지망생 해군들 역시 자신이 비롯 해병대는 아니더라도 해병1기생과 꼭 같은 해병대 긍지와 국가정신을 갖고 살았던 분들이 대다수다. 간혹 해병1기가 계시다하여 조사해보면 해병1기 300명 명단에 없는 당시 해군노병이었음이 밝혀지곤 했다. 

하지만 모든 해병은 그분들에게도 존경의 마음을 항상 품을 것으로 예견된다. 해병대 창설 76년의 해인 현재 해병1기 생존자 노병은 인천시거주 朴世楊(박세양)9100-067, 강화군 거주 朴學洙(박학수)9100-121 강릉시거주 崔連圭(최연규)9100-230 단 3명만 확인되었다. 감사한 것은 해병대 창설 대선배이신 해병1기생 노병들과 같은 대한민국 하늘 아래에서 함께 호흡하고 있다는 것이 감사한 일이다


. - 발행인 신동설



미해병대 모병 비화를 돌아보면 미합중국이 수립되기 전인 1775년 미 해병대 창설 당시 최초 모병 활동은 주막(酒幕)집 주인이었던 ‘멀렌’ 중대장이 각처로 모병단을 보내 천하에 악명 높은 건달이나 왈가닥 패거리를 설득, 포섭하여 해병대가 되게 하여 철저한 정신교육과 강한 정신을 주입시켜 그들로 하여금 미 해병대의 영광스런 주춧돌이 되게 했던 것이다.


무적해병신문  rokmcnews@naver.com
<저작권자 © 무적해병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