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同床異夢

2025 노벨상 수상자

marineset 2025. 10. 11. 07:59

 

 

All Nobel Prizes 2025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for 2025 is awarded to the Hungarian author László Krasznahorkai, “for his compelling and visionary oeuvre that, in the midst of apocalyptic terror, reaffirms the power of art.” László Krasznahorkai is a great epic wri

www.nobelprize.org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2025년 노벨 평화상을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에게 수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베네수엘라 국민의 민주적 권리를 증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그녀의 노고와 독재 정권에서 민주주의로의 정의롭고 평화로운 전환을 이루기 위한 그녀의 투쟁에 대해.

 

2025년 노벨 평화상은 평화의 용감하고 헌신적인 옹호자에게 수여됩니다. 어둠이 깊어지는 가운데도 민주주의의 불꽃을 계속 타오르게 하는 여성에게 수여되는 상입니다.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는 2025년 노벨 평화상을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에게 수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녀는 베네수엘라 국민의 민주적 권리를 증진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독재 정권에서 민주주의로의 정의롭고 평화로운 전환을 이루기 위한 투쟁에 대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베네수엘라 민주주의 운동의 지도자인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는 최근 라틴 아메리카에서 시민적 용기의 가장 놀라운 사례 중 하나입니다.

 

마차도 여사는 한때 깊이 분열되었던 정치적 야당을 하나로 모으는 핵심 인물이었습니다. 자유 선거와 대의 정부를 요구하는 이 야당은 공통의 기반을 찾았습니다. 바로 이것이 민주주의의 핵심입니다. 서로 의견이 다르더라도 인민 통치의 원칙을 수호하려는 우리의 공통된 의지입니다.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는 이 시대에, 이 공통 기반을 수호하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베네수엘라는 비교적 민주적이고 번영했던 나라에서 잔혹하고 권위주의적인 국가로 변모하여 현재는 인도주의적, 경제적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베네수엘라 국민은 극심한 빈곤 속에서 살고 있지만, 극소수의 최상위 계층은 부유해지고 있습니다. 국가의 폭력적인 시스템은 자국민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거의 800만 명이 베네수엘라를 떠났습니다. 야당은 선거 조작, 법적 기소, 그리고 투옥을 통해 조직적으로 탄압받아 왔습니다. 

 

베네수엘라의 권위주의 정권은 정치 활동을 극도로 어렵게 만듭니다. 민주주의 발전에 헌신하는 단체인 수마테(Súmate)의 설립자인 마차도(Machado) 여사는 20여 년 전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위해 투쟁했습니다. 그녀의 말처럼 "총알 대신 투표용지를 선택했습니다." 그 이후로 마차도 여사는 정치 활동을 하면서 그리고 여러 단체에 봉사하며 사법 독립, 인권, 그리고 국민의 대표성을 위해 목소리를 높여 왔습니다. 그녀는 베네수엘라 국민의 자유를 위해 수년간 노력해 왔습니다.

 

2024년 선거를 앞두고 마차도는 야당 대선 후보였지만, 정권이 그녀의 출마를 막았습니다. 이후 그녀는 다른 정당의 대표인 에드문도 곤살레스 우루티아를 선거에서 지지했습니다. 수십만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정치적 분열을 넘어 동원되었습니다. 이들은 투명하고 공정한 선거를 보장하기 위해 선거 감시원으로 훈련받았습니다. 괴롭힘, 체포, 고문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시민들은 투표소를 감시했습니다. 정권이 투표용지를 파기하고 결과에 대해 거짓말을 하기 전에 최종 집계가 기록되도록 했습니다.

 

선거 전후에 이루어진 야당의 노력은 혁신적이고 용감했으며, 평화롭고 민주적이었습니다. 야당 지도자들이 전국 선거구에서 집계된 개표 결과를 공개하며 야당이 압도적인 표차로 승리했음을 보여줌으로써 국제적인 지지를 얻었습니다. 그러나 정권은 선거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고 권력에 매달렸습니다.

 

민주주의는 지속적인 평화의 전제 조건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점점 더 많은 권위주의 정권이 규범에 도전하고 폭력에 의존하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베네수엘라 정권의 완강한 권력 장악과 국민 탄압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현상입니다.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 추세를 목격하고 있습니다. 권력자들은 법치를 남용하고, 자유 언론은 억압당하며, 비판자들은 투옥되고, 사회는 권위주의 통치와 군사화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선거가 치러졌지만,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는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는 오랜 역사 동안 억압에 맞서 싸운 용감한 여성과 남성들에게 상을 수여해 왔습니다. 이들은 감옥, 거리, 광장에서 자유의 희망을 품고 평화적인 저항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음을 행동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마차도는 숨어 지내야 했습니다. 심각한 생명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노르웨이에 남았고, 이는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선택이었습니다.

 

권위주의자들이 권력을 장악할 때, 일어나 저항하는 용감한 자유의 수호자들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민주주의는 침묵을 거부하고, 중대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용기 있게 나서며, 자유는 결코 당연하게 여겨져서는 안 되며, 말과 용기, 그리고 결의로 항상 수호되어야 함을 일깨워 주는 사람들에게 달려 있습니다.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는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명시된 평화상 수상자 선정 기준 세 가지를 모두 충족합니다. 그녀는 조국의 반대 세력을 결집시켰습니다. 베네수엘라 사회의 군사화에 저항하는 데 한 번도 흔들림이 없었습니다. 또한 민주주의로의 평화로운 전환을 확고히 지지해 왔습니다.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는 민주주의의 도구가 곧 평화의 도구임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녀는 시민의 기본권이 보호되고 그들의 목소리가 경청되는 새로운 미래에 대한 희망을 몸소 보여줍니다. 그 미래에 사람들은 마침내 평화롭게 살 수 있는 자유를 누리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

'스토리 > 同床異夢'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벨상 선정은 어디서?  (0) 2025.10.11
AI와 번역시장  (0) 2025.09.21
일제강점기를 겪은 두 나라의 역사 인식, 한국과 대만  (6) 2025.08.15
존엄한 죽음의 의미  (12) 2025.08.03
노란봉투가 뭐야?  (3) 2025.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