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전투기 몰고 귀순…70년전의 ‘자유 비행’
중앙선데이
입력 2023.01.14 00:26
업데이트 2023.01.14 02:33
위대한 독재자와 전투기 조종사
블레인 하든 지음
홍희범 옮김
마르코폴로
지금 시대를 사는 대부분의 한국인은 북한 전투기를 몰고 귀순한 이웅평(1954~2002)을 기억할 것이다. 1983년 2월 25일 당시 북한 공군 상위(대위)였던 그는 미그-19 전투기를 몰고 월남했고, 이후 대한민국 공군에서 대령으로 예편했다. 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이 책은 1953년 9월 21일, 그러니까 이웅평보다 꼭 30년 먼저 당시 최신 기종이던 미그-15 전투기를 몰고 귀순한 북한 조종사 노금석의 스토리다. 6·25전쟁을 끝낸 1953년 7월 27일의 휴전협정이 체결된 지 불과 두 달 만에 벌어진 망명 사건의 파문은 컸다.
저자는 당시 북한의 최연소 엘리트 조종사였던 노금석이 평양 순안 비행장이 아니라 한국 김포 비행장으로 기수를 돌리던 그 순간에 김일성의 모습을 교차 서술하면서 극적 효과를 배가했다. 예컨대 노금석이 김포 비행장에 착륙하던 바로 그 시간에 김일성은 전날 소련 지도부로부터 전후 대북 지원을 약속받고 흡족한 상태에서 곯아떨어져 있었다. 김일성은 다음날 충격적인 조종사 망명을 보고받고 대로했고, 지휘계통에 있던 5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해 처형했다.
횡재하듯 소련의 최신 전투기를 입수한 미국은 노금석에게 포상금으로 10만 달러(현재 가치 약 100만 달러)를 지급했다. 노금석은 먼저 월남한 어머니 고정월 여사와 함께 냉전이 한창이던 1956년 미국 중앙정보부(CIA)의 권유로 특별 시민권을 받고 미국으로 귀화했다. 1932년생인 노금석은 일본강점기에 ‘오카무라 교시’였고, 미국에선 ‘케네스 로우’로 불리다 지난해 성탄절 다음날 숨을 거뒀다.
북한에서 훈장까지 받은 6·25전쟁 참전용사였으나 어머니와 자유를 찾아 사선을 넘은 그의 인생 자체가 드라마다. 이 책은 자유를 찾은 뒤 완전히 달라진 노금석의 삶과 수십년간 전혀 달라지 않은 김씨 왕조 3대 세습체제의 북한을 극명하게 대비해 그렸다. 뉴욕타임스는 이 책에 대해 “매혹적이다”라며 극찬했다.
2015년에 나온 영어판은 아마존 선정 베스트셀러였는데 7년 만에 뒤늦게 한국어판이 나왔다. 저자 블레인 하든은 미국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동북아 특파원을 지낸 언론인이다.
장세정 논설위원 zhang@joongang.co.kr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33562
북 전투기 몰고 귀순…70년전의 ‘자유 비행’ | 중앙일보
위대한 독재자와 전투기 조종사 블레인 하든 지음 홍희범 옮김 마르코폴로 지금 시대를 사는 대부분의 한국인은 북한 전투기를 몰고 귀순한 이웅평(1954~2002)을 기억할 것이다. 이 책은 1953년 9월
www.joongang.co.kr
이들은 서울시청 앞에서 각계 요인과 서울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귀순용사 환영식에서 서울시민증을 받고 부산에서 온 친지들과 극적인 상봉도 했다.
[출처] 경기신문 (https://www.kgnews.co.kr)
1955년 북한 공군장교 이운용.이인선 야크기 타고 귀순
1955년 6월 21일 북한 조선항공사령부 직속 독립연대 858군부대 소속
이운용 상위와 이인선 소위 두명이 야크18(Yakovlev Yak-18) 연습기를 타고 귀순했다.
평양출신이며 소련비행학교를 졸업한 이운용 상위와 평남 강서군 출신이며
중국비행학교를 졸업한 이인선 소위 두명은 이날 오전11시경 소속부대인
조선항공사령부 직속 독립연대 858군부대에서 무단으로 나와 야크18 연습기로 평양을 탈출,
오후1시30분경 서울상공에 도달해 수차례 선회하며 귀순의사를 밝힌 후 여의도
비행활주로에 착륙했고 출동한 헌병들에게 두 손을 들어 투항의사를 밝혔다.
[출처] 역사와 오늘과 역사.6.21.|작성자 조은이
기록이 쌓이면 뭐든 된다. : 네이버 블로그
뉴스.역사기록.좋은글.음악산책.생활정보
blog.naver.com
----------------------------------------------------------------------------------------------------------------------------------------------------------------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조종사들과 군용기들
[출처]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조종사들과 군용기들|작성자 U234
당신이 모르는 밀리터리 : 네이버 블로그
당신의 모든 기록을 담는 공간
blog.naver.com
날짜
|
이름
|
국적
|
착륙 위치
|
조종한 군용기
|
1950.04.28
|
이건순
|
북한
|
김해비행장
|
IL-10
|
1953.09.21
|
노금석
|
북한
|
김포비행장
|
MiG-15
|
1955.06.21
|
이운용, 이인선
|
북한
|
여의도비행장
|
Yak-18
|
1960.08.03
|
정낙현
|
북한
|
대포리비행장
|
MiG-15
|
1961.09.15
|
소희연, 고우종
|
중국
|
(우도에 불시착)
|
An-2
|
1970.12.03
|
박순국
|
북한
|
(고성에 불시착)
|
MiG-15
|
1982.10.16
|
오영근
|
중국
|
서울공항
|
J-6
|
1983.02.25
|
이웅평
|
북한
|
수원비행장
|
MiG-19
|
1983.08.07
|
손천근
|
중국
|
서울공항
|
J-7
|
1985.08.24
|
소천윤, 손부충(사망), 유서희(송환)
|
중국
|
(이리에 불시착)
|
H-5
|
1986.02.21
|
진보충
|
중국
|
수원비행장
|
J-6
|
1986.10.24
|
정재천
|
중국
|
수원비행장
|
J-6
|
1996.05.23
|
이철수
|
북한
|
수원비행장
|
MiG-19
|
[출처]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조종사들과 군용기들|작성자 U234
'스토리 > 역사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의 아픈 역사... 드레스덴 광장에 오다 (1) | 2025.03.10 |
---|---|
식민지 시절의 국적 논쟁 (0) | 2025.03.07 |
유엔에서 온 '칙사'들 (0) | 2024.04.03 |
낙랑클럽 (6) | 2024.04.03 |
[사찰에서 만나는 우리역사] <2> 도봉산 망월사 (2) | 202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