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역사속으로 134

북한 도발 일지

[북한 도발 일지] 58. 2. 15 KNA 납북사건: 부산 수영비행장을 떠나 서울로 향하던 KNA(창랑호)가 평택 상공에서 무장 북한공작원들에 의해 납치돼 평양순안 공항에 강제 착륙했다. 우리국회는 북한만행을 규탄하는 메시지를 6.25참전 16개국에 보내는 등 강력 항의하자 탑승자 26명 전원을 돌려보냈다. 67, 1, 19 당포함 침몰사건: 동해 북쪽 해상에서 해군함대 제1전단 소속 당포함이 북한군의 해안포를 맞고 격침된 사건이다. 당포함은 당시 북방한계선 근방에서 명태 잡이를 하던 우리 어선을 보호해 남하시키는 임무를 수행하던 중이었다. 68, 1. 21 청와대 습격 기도사건:북한은 청와대 습격을 목적으로 124군부대 무장공비 김신조 일당 31명을 남파하였으나 대부분 섬멸(사살 2 명)되고, 김신조..

대한국민항공사(KNA)를 아시나요?

대한국민항공사(KNA)를 아시나요? KNA 사장 신용욱. 친일과 신념의 두 얼굴 꼬르마딜리오 2015.09.01 11:11 새처럼 하늘을 날고 싶다는 인간의 욕망이 구체적으로 실현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불과 백여 년에 불과하다. 항공의 역사는 그처럼 단출하지만 발전 속도만큼은 마하 급이어서 기체는 초기의 복엽기, 단엽기 수준을 세차게 뛰어넘어 음속의 몇 배를 넘나들게 되었고, 상업적으로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항공 산업 없이는 지구촌이란 단어를 상상할 수조차 없게 되었다. 돌이켜보면 항공시대 초창기는 우리 민족의 암흑기였다. 대한제국이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한 뒤 한국인들은 비행기를 이용하여 자국의 선진 기계문명을 과시하는 일본을 부러운 눈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기개 넘치던 이 땅의 젊은이들..

탈북자 2만7000명 시대

탈북자 2만7000명 시대 판문점서 귀순한 이수근, 위장간첩 죄명으로 사형 탈북자2015. 05. 08 15:49 입력 | 2015. 05. 10 11:21 수정 北 노금석 중위 휴전 2개월 만에 MIG-15 전투기 타고 내려와 1987년 청진의과대학 의사 김만철 일가 11명 기획탈북 후 귀순 ■탈북자 2만7000명 시대 통일부의 ‘2015 통일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현재 탈북 후 국내로 입국한 북한주민(이하 탈북자)은 총 2만7518명이다. 그 숫자만큼이나 이제 우리 주위에서 탈북자들을 보는 것은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지금까지의 탈북자는 남자 8251명, 여자 1만9267명으로 여자가 두 배 이상 많았다. 연도별로는 2000년 이전까지는 누적 입국자가 1000명도 안 됐지만, 이후 급증..

인민군 엘리트 신중철의 귀순

인민군 엘리트 신중철의 귀순 [출처] 인민군 엘리트 신중철의 귀순|작성자 지식스닷컴 어느 해가 그렇지 않을까마는 1983년은 다사다난이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한 해였다. 이웅평 대위가 미그기를 몰고 넘어오면서 휴전 후 최초로 공습경보가 울렸고, 중국 민항기가 피랍되어 북한 영공을 통과해 남한의 춘천에 불시착했다. 이를 통해 남한은 왕년의 철천지 원수 중공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부르고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대한민국의 호칭을 받는 첫경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10월에는 전두환 (나는 이 자에게만큼은 대통령 호칭을 붙이지 않는다)을 노린 북한의 아웅산 테러가 있었다. 그 가운데 5월 7일 뜻밖의 인물이 대한민국 땅을 밟았다. 인민군 13사단 민경대대 참모장 신중철이었다. 그의 말에 따르면 그는 김일성 군사대학 졸..

부동의 적장자, 세자가 되다

부동의 적장자, 세자가 되다 부동의 적장자, 세자가 되다 태조 3년(1394) 태조 이성계의 5남 이방원의 집에 그토록 기다리던 맏아들이 태어났으니 바로 양녕대군으로 이름을 ‘제’라 지었다. 이때가 이방원의 나이 스물여덟, 부인 민씨의 나이 서른 살이었다. 이방원 부부 사이에 이미 딸이 둘 있었다고는 하나 당시로서는 대단히 늦은 나이에 보게 된 자식이었다. 아들 셋을 연거푸 잃고서 얻은 사내아이였던지라 양녕대군을 자신의 살림집에서 기르지 않고 태어나자마자 바로 민씨 부인의 친정집으로 보냈다. 양녕대군의 외할머니를 비롯한 민씨의 친정집에서는 행여 탈이라도 날 새라 지극정성으로 양녕대군을 돌보았고 그 덕에 외할머니와 외숙모들의 품에서 건강하게 자랐다. 특히 이방원이 일으킨 제1차 왕자의 난 이후부터는 이방원..

[여성으로 본 중국사]송경령과 그 자매 송애령, 송미령

[여성으로 본 중국사]송경령과 그 자매 송애령, 송미령 송경령과 그 자매 송애령, 송미령 중국사 다이제스트 100 宋氏三姐妹 ‘송씨 집안의 세 자매’의 생애는 극히 파란만장한 인간드라마일 뿐만 아니라, 중국혁명과 20세기의 역사에 남을 귀중한 증언을 함축하고 있다. 송애령(宋靄齡:공상희 부인), 송경령(손문 부인), 송미령(장개석 부인)의 아버지인 송가수(宋嘉樹)는, 해남도(海南島)의 가난한 상인의 집에서 태어나 어릴 때 보스톤에서 상업을 하는 외삼촌의 양자가 되어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러나 장사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그곳을 도망쳐 나와 전전하다가 학교에 들어가 신학을 공부했다. 1886년 귀국하여『만국공보(萬國公報)』의 발행인으로 유명한 영 알렌 밑에서 기독교 전도사로 일했지만 알렌의 권위적인 태도에..

수원/화성의 3.1 만세 운동

수원/화성의 3.1 만세 운동 수원 • 화성의 3. 1 만세운동 1. 수원의 만세운동 이곳 수원에서도 어김없이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다. 3월 1일 북문안 용두각에 수백명의 주민이 모여 갑자기「조선독립 만세」를 부르기 시작했다. 이 만세소리를 듣고 각처에서 모여든 군중이 수천명이 되었다. 3월 16일 장날을 이용하여 남쪽으로부터 만세소리가 들리더니 잠시동안에 천여명의 군중들이 호응하여 팔달산 서장대와 동문안 연무대에 수 백명식 모여 만세를 부르며 시가지 종로를 통과하면서 대혼란을 이루자 경찰은 소방대 및 헌병과 합동하여 이를 제지, 주모자를 김거하였다. 이에 주민들이 일제히 철시를 단행, 이에 항의하자 경찰은 검거하였던 사람들을 석방했다. 이 날은 마침 장날이었는데 오후 11시경 복수리에 있는 천도교에서는..

麗順事件에 관한 자료의 성격과 연구 현황

麗順事件에 관한 자료의 성격과 연구 현황 麗順事件에 관한 자료의 성격과 연구 현황 1. 머리말 2. 여순사건에 대한 자료의 특징과 연구시각 3. 여순사건의 배경과 원인 4. 여순사건의 전개과정과 성격 5. 맺는말 1. 머 리 말 해방직후 좌우의 갈등과 대립은 여러 차례의 유혈충돌을 촉발하였다. 한반도에 정부가 수립되기 직전인 1948년 4월에는 제주도에서 이른바 4 · 3사건이 일어났고, 정부수립 직후인 10월에는 전라남도 여수에 주둔하던 국방경비대 제14연대의 좌익계 장병들이 지역민 일부의 지지를 받아 봉기하였다. 이른바 ‘여순사건’* 이 논문은 1996년도 순천대학교 공모과제 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여순사건’에 대한 명칭은 매우 다양하다. 그 점에 대해서는 본문에서 상세하게 ..

여순10.19사건과 수정주의 해석의 재검토

1948년 10월 19일 중위 김지회, 상사 지창수를 비롯한 일련의 남로당 계열 장교들과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에 반대한 군부대가 주동하여 2,000여 명의 군인이 전라남도 여수에서 봉기함으로 인해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좌·우익 세력으로부터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많은 민간인이 희생 당한 사건이다. 이승만 정부 수립 2개월만에 겪은 이 사건을 계기로 이승만은 철권 통치와 반공주의 노선을 강화하였다. 반란군에 의해 경찰 74명, 우익 인사 16명을 포함해 약 150여 명의 민간인이 학살됐고, 정부 진압 군경이 사건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최소 439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다.[1] '여수 14연대 반란사건', '여수·순천 주둔군 반란 사건', '여순반란사건', '여순봉기', '여순군란' 등으로 불리었으나 ..

병신년의 역사

병신년의 역사 [스크랩] 역사속의 丙申年 을미년 한 해가 저물어 가고 병신년 한 해가 각일각 닥아 오고 있다. 묵은 한 해가 저물고 새해로 바뀌는 건 해마다 되풀이 되지만 干支(간지)에 의한 해는 一周甲(일주갑), 그러니까 60년마다 바뀌는 게 하늘의 섭리이다. 내년 병신년은 붉은 원숭이 해라고 한다. 丙申年(병신년)의 丙(병)은 세 번째 天干(천간)으로, 방위로는 南南南東(남남남동)이라 남에 해당하고, 五行(오행)으로는 火(화)에, 색깔로는 붉은색에 해당한다. 병신년의 申(신)은 아홉 번째의 地支(지지)로, 띠와 때를 나타내는데 띠는 원숭이에, 때는 申時(신시 : 오후 3시에서 5시 사이)에 해당한다. 그래서 병신년을 붉은 원숭이 해라고 하는 것이다. 원숭이는 다재다능하고 임기응변을 잘하지만 인내심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