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679

성의 거래 : 성욕과 권력의 역사 (2)

성의 거래 : 성욕과 권력의 역사 (2) 성의 거래 : 성욕과 권력의 역사 (2) 성교육전문가·심리학박사 2013년 11월 05일(화) 00:00 역사학자이면서 민속학자인 이능화는 우리 문화권의 풍속에 관한 서적인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化史)’를 1927년에 내놓았다.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기에 이르기까지 천민으로 취급받은 유녀들의 자료를 모았는데, 여기에서 ‘해어화’란 ‘말을 이해할 줄 아는 꽃’이란 뜻으로 기생을 지칭한다. 이 책의 마지막 장 ‘갈보(蝎甫) 종류 총괄’에서는 조선시대에 잔치나 술자리에서 노래나 춤 또는 풍류로 흥을 돋우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기생을 망라하고 있다. 갈보의 갈은 중국말에서 온 것으로 밤에 나와서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빈대를 뜻하는 것으로, 지배층의 성적 위안부였던 기생을 ..

성의 거래:성욕과 권력의 역사 (1)

성의 거래:성욕과 권력의 역사 (1) 심리학박사 2013년 10월 22일(화) 00:00 1907년에 발표한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 작품에는 다섯 명의 여성이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알몸의 상태로 자세를 취하고 있다. 프랑스 아비뇽 인근의 사창가 여성을 그렸다고 전해지는데, 그림 속 우측의 두 여성은 괴상한 가면을 쓴 것처럼 얼굴이 변형되어 있다. 몸을 통한 쾌락의 욕구와 성병에 대한 두려움을 작가가 양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렇듯 성매매는 남성의 육체적 욕망을 채우는 역사이자, 몸을 파는 여성을 도덕적으로 비난하는 역사이기도 하다. 욕망의 사회 구조 안에서 국가와 권력이 어떻게 성을 거래해 왔는지 그 역사를 조망해보자.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이자 이야기꾼이었던 헤로도토스의 말에 따르..

불교신문으로 보는 ‘법정스님 어록’

불교신문으로 보는 ‘법정스님 어록’ “승규는 구체적 수행을 통해서만 저절로 갖추어질 ‘도덕’이라는 것” 도제교육에 과감한 개혁 없이 혼돈에서 벗어날 출구는 없다 ○…부처님! 당신의 가사와 바루를 가진 제자들이 오늘날 이 겨레로부터 마치 타락된 정치가들처럼 불신을 받고 있는 점에도 충분한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저는 이제 제 주변을 샅샅이 뒤져 헤치는 작업이라도 해야겠습니다. (1964년 10월4일자 ‘부처님 전상서’) ○…누구를 부를까 가까이는 부를만한 이웃이 없고 멀리 있는 벗은 올수가 없는데…/ 지난 밤에는 열기에 떠 줄곧 헛소리를 친듯한데 무슨 말을 했을까/ 앓을 때에야 새삼스레 혼자임을 느끼는가 성할 때에도 늘 혼자인 것을./ 또 열이 오르네 사지에는 보오얗게 토우(土雨)가 내리고 가슴은 ..

한국인 대체로 목소리 크고 욕 잘 하는 원인은

한국인 대체로 목소리 크고 욕 잘 하는 원인은 [조인스] 기사입력 2012/04/08 12:22 사람은 누구나 심사가 조금씩 꼬여 있다. 나보다 잘나가는 사람을 보면 못 견뎌 한다. 자꾸 남들과 비교하며 처지는 자신의 모습을 괴로워한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이런 인간의 찝찝한 내면을 통틀어 콤플렉스(komplex)라고 명명한다. 이 콤플렉스는 또다시 다양한 하위 콤플렉스 개념으로 분화한다. 콤플렉스라고 독일어로 이야기하면 아주 폼 나 보인다. 그러나 이 단어의 뜻은 아주 단순하기 그지없다. 말 그대로 그냥 ‘복잡한 것’이다. 뭐라고 분명히 정의할 수 없고, 이것저것 마구 섞여 있다는 거다.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거시기’쯤 되겠다. 뭔가 ‘거시기’한 게 인간의 내면에 숨어 있어 수시로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는 ..

욕은 인간 본성의 적나라한 표현

욕은 인간 본성의 적나라한 표현 욕(辱)의 교육인간학 “” 글 : 강기수 동아대 교육학과 교수 욕을 할 상황에서는 하되, 해서는 안 될 욕, 예를 들면 신체적인 결함을 담은 욕, 상스런 욕, 악질적인 욕, 파괴적이고 공격적인 욕, 지역감정을 유발하는 욕, 특정인을 비방하는 욕 등은 가급적 하지 말아야 한다 ⊙ 성장세대들이 욕을 입에 달고 사는 것은 그들의 삶, 현실이 욕 나오게 하기 때문 ⊙ 욕하는 청소년들만 나무라는 것은 어른들의 횡포 ⊙ 욕은 성장세대의 억압된 감정을 해소하는 해방구 姜基洙 ⊙ 50세. 부산교대, 동아대 대학원 졸업. 교육학 박사. ⊙ 동아대 교육대학원 부원장, 동아대 교육연구소 소장, 행복사회문화포럼 상임대표 역임. 요즘 어린이나 청소년들은 욕을 무척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어린이나..

정호스님 / 왜 자살하는가

정호스님 / 왜 자살하는가 정호스님 / 왜 자살하는가 데스크승인 [152호] 2010.11.04 11:01:00 정호스님 / 논설위원ㆍ조계종 포교연구실장 한국은 OECD국가 중 자살 1위국이라는 불명예 훈장을 달았다. 우리나라에선 하루 평균 42명이 자살을 한다. 지난달 포교원에서는 시급한 현안 문제로 ‘자살’을 선정하고 포교종책연찬회를 열었다. 이 땅의 사람들이 30분에 한명씩 자살로 죽어나가는 현실에서, 중생구제의 원력을 구현하는 지혜와 자비의 종교인 불교가 방관하는 태도가 부끄럽다고 판단한 것이다. 연찬회를 준비하는 짧은 시간에도 방송에서는 최윤희 씨가 자살을 했고, ‘행복전도사’가 자살했다는 이슈로 방송에선 연일 보도되고 있었다. 참담한 상황이었다. 30분 1명씩 날마다 42명 자살 자, 그렇다면..

정호스님 / 의미 없는 생명은 없다

정호스님 / 의미 없는 생명은 없다 정호스님 / 의미 없는 생명은 없다 데스크승인 [152호] 2010.08.18 09:02:00 정호스님 / 논설위원ㆍ조계종 포교연구실장 “하늘은 뜻 없는 목숨을 낳지 않고, 땅은 의미 없는 생명을 기르지 않는다.” 성인의 이 가르침이 다시 한번 사무치게 다가온 것은 ‘태호 이야기’를 본 후이다. 양팔과 허벅지가 없이 태어났고 ‘피에르 로빈 증후군’이라는,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희귀병까지 갖고 태어나 부모에게 버려진 후 승가원에서 생활하는 유태호 군. 8개의 발가락으로 밥을 먹고 세수를 하고, 옷을 벗고 입고, 로션을 바르며 몸을 단장하고, 글씨를 쓰고, 뇌병변 장애를 가진 승가원 동생에게 글씨를 가르치는 놀랄 만큼 밝고 순수한 아이였다. 잘나고 못난 것 가치기준 안 ..

정호스님/일보다 사람

정호스님/일보다 사람 정호스님 / 논설위원ㆍ조계종 포교연구실장 경인년 새해, 소통과 화합이 교계 안팎의 화두로 떠올랐다. 소통(疏通)은 “막히지 아니하고 잘 통함”의 뜻이다. 소통과 함께 항상 따라붙는 말이 화합(和合)이다. 수많은 생명들이 한 시공간에 함께 살아가야 하는 조건에서, 서로 통하지 않고 섞이지 않고 어울리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 그러므로 소통은 우리 모두가 그토록 바라마지 않는 평화와 행복한 삶을 위한 기본 전제이고 조건이 된다. 자기의 부족함부터 인정하라 우리 사찰은 사부대중이 함께 사회복지시설도 운영하고, ‘행복한이주민센터’라는 비영리 단체도 운영하고 있는데, 올 들어 행복한 이주민센터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되면서 국가위탁운영체가 되는 성과를 거뒀다. 사부대중이 합심해 진실되게 일하..

정호스님 / 불교는 포교로 존재

정호스님 / 불교는 포교로 존재 정호스님 / 불교는 포교로 존재 데스크승인 [152호] 2010.04.10 12:01:00 법정스님께서 열반에 드시고 얼마 안 된 일인데, 우연히 만난 사람들이 스님인 나를 보고 아는 체를 많이 했다. “법정스님 책을 읽고 참 많은 감명을 받았어요. 스님 뵈니까 법정스님 생각이 나요.” 상점 주인은 물건 값을 깎아 줬고, 지나가는 이들은 공손히 인사를 했다. 타종교인도 책을 한권 건네자 진심으로 감사하다며 인사를 했다. 진실한 법향이 만리 간다 진실한 법의 향기는 만리를 간다했는데, 아름다운 정신과 실천을 글로 옮겨 문서포교를 했던 스님의 덕향이 스님의 부재 속에서도 진하게 피어나는 순간들이었다. 부처님의 진실 되고 거룩한 가르침이 2500여 년을 이어온 그 힘은, 이렇듯..

[이홍구 칼럼] 필리핀 대통령들의 6·25전쟁 인연

[이홍구 칼럼] 필리핀 대통령들의 6·25전쟁 인연 [중앙일보] 입력 2010.10.04 00:17 수정 2010.10.09 17:28 | [출처: 중앙일보] [이홍구 칼럼] 필리핀 대통령들의 6·25전쟁 인연 60년 전 유엔의 깃발 아래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힘을 보태려 참전한 21개국의 장병 수는 총 194만498명이었다. 거의 200만 명이나 되는 이들 참전용사 가운데서 국가원수를 배출한 나라는 필리핀이 유일한 것 같다. 피델 라모스(F. Ramos) 전 대통령, 그리고 지난해 세상을 떠난 코라손 아키노(Aquino) 전 대통령과 그의 아들로 올해 6월 대통령에 취임한 노이노이 아키노 현 대통령이 6·25 한국전쟁과 특별한 인연을 가진 필리핀 지도자들이다. 6·25전쟁 때 미국·영국에 이어..